美언론 “캐나다의 상전벽해 배우자”

  • 동아일보
  • 입력 2010년 7월 3일 03시 00분


올 1분기 GDP 성장률 6.1%
‘후진국 명예대표’ 오명 씻고 선진국 대표주자로 탈바꿈

‘제3세계 후진국들의 명예 대표.’

1994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당시 선진 7개국(G7)에 속한 캐나다를 이렇게 비아냥댔다. 1990년대 초반 정부의 심각한 재정적자로 사회적 불안마저 감돌던 캐나다를 두고 G7 회원 자질을 문제 삼은 것. 그러나 최근 미국 언론들은 “미국을 포함한 서방 선진국들은 캐나다에 배움을 청해야 할 때”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최근 주요 8개국(G8) 및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주최한 캐나다의 위상이 10여 년 만에 완전히 뒤바뀐 셈이다.

캐나다의 변화는 경제 수치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1997∼2007년 평균 경제성장률이 3.3%로 G7 국가 가운데 가장 높다. 같은 기간 일자리 창출 비율도 평균 2.1%로 미국의 2배가 넘는다. 미 폭스뉴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더욱 격차가 크다. 미국이 약 2.5%를 기록하는 동안 캐나다는 6.1%에 이른다. 지난달 G7 가운데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올린 나라도 캐나다였다.

벌써부터 캐나다가 새로운 국제사회의 주역이 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미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는 지난달 25일 “21세기는 캐나다의 시대”라며 “미국은 북쪽 이웃나라로부터 배울 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라며 치켜세웠다. 폭스뉴스는 “이번 정상회의는 캐나다가 G20 국가들을 가르치는 자리”라고 했으며, AP통신은 “서방 선진국들이 캐나다의 금융위기 극복 요령을 배우고 싶어 한다”고 보도했다.

폭스뉴스는 1990년대 캐나다 재무장관을 지낸 폴 마틴 전 총리가 주창한 ‘작지만 영리한 정부’ 정책에 캐나다의 성공 비결이 있다고 평가했다. 상당수 수입부품 관세를 과감히 철폐하고 제조업의 경쟁력을 키우는 데 주력했다.

적절한 연금제도 개혁도 한몫했다. 포린폴리시는 “중앙정부가 획일적인 연금개혁을 밀어붙이는 미국과 달리 캐나다는 지방정부들이 각자 상황에 맞는 프로그램을 추진했다”고 지적했다. 1996년부터 2000년까지 큰 논란 없이 연금 수혜자를 인구의 10.7%에서 6.8%로 줄인 것도 성공의 한 요인으로 꼽혔다.

정양환 기자 ra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