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쇠락은 분명하지만 이는 절대적 힘의 쇠퇴가 아니라 상대적 쇠퇴로 앞으로 수십 년 내에 중국이 미국을 능가하지는 못할 것이다.’
‘소프트 파워’ 이론의 주창자 조지프 나이 미국 하버드대 교수(사진)가 흔들리는 제국 미국의 미래를 이같이 내다봤다. 나이 교수는 2010년 11월, 12월호 포린어페어스지에 기고한 ‘미국 국력의 미래(The Future of American Power)’라는 글에서 미국의 쇠락과 급격하게 부상하는 중국과의 관계를 논했다.
나이 교수는 “미국의 쇠락을 전망하는 것은 더는 새로운 것도 아니고 학계에 만연한 일종의 유행과도 같은 것”이라고 전제한 뒤 “하지만 절대적인 힘의 쇠퇴가 아니라 상대적인 것으로 국력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앞으로 수십 년간 미국이 여전히 다른 어떤 나라보다 더욱 우월한 지위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 역시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시나리오”라고 주장했다.
그는 “21세기는 매우 불평등한 권력 자원의 배분 속에서 시작된 시기”라고 전제한 뒤 “미국은 세계 인구의 5%를 구성하고 있지만 세계 경제총생산의 4분의 1 정도를 책임지고 있고 세계 군비 지출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것 등이 그 예”라고 설명했다. 또 “문화와 교육 측면에서 가장 광범위한 소프트 파워를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이 교수는 “중국의 부상과 상대적인 미국 국력의 변화는 상당부분 중국의 정치권력 변화의 불확실성에 영향을 받고 있다”며 “정치적인 격변을 억제한다면 중국의 국가규모나 현재의 경제성장률에 비춰 중국이 미국과의 국력 격차를 줄일 것은 확실하지만 그렇다고 중국이 미국을 능가할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그 이유로 그는 미국이 가진 압도적인 소프트 파워의 크기와 군사력의 우위, 그리고 동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중국에 대한 견제를 꼽았다. 그는 “중국에 대한 일본의 불신을 고려할 때 중국과 연합하기보다는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해 중국을 견제하고 일본의 독립성을 유지하려고 할 여지가 많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과 유럽연합(EU)이 미국 편이라는 점은 중국의 부상을 가로막을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라고 했다.
나이 교수는 미국의 쇠락을 앞당길 가장 큰 요인을 미국 내부에서 찾았다. 테러와의 전쟁에 몰두하면서 급격하게 번져가고 있는 외국인에 대한 혐오증과 외부에 대한 개방을 차단하려는 수구성이 ‘미국병’의 근원이라는 것. 그는 “권력의 이동을 20세기 패권론의 관점에서 보는 것은 위험하다”며 “이 같은 생각은 중국으로 하여금 모험주의적 국력팽창의 길을 걷게 할 우려가 있는 동시에 미국 역시 중국의 부상을 두려워한 나머지 과도한 대응에 나설 위험성도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하태원 특파원 triplets@donga.com
글로벌 스코프: “中 대북지원은 北 죽지 않을 만큼만” ▲2010년 10월27일 동아뉴스스테이션
아기가 태어나면 홍역이란 걸 거처야 하듯이, 중국도 국민이 어느정도 의식주 해결이 되면 여타에 대한 욕구 분출로 대모, 시위에 40여년은 시달려야 될것이다. 이기간 동안 잘 대처 못하면 아르헨처럼 곤두박질로 세계에서 최하위 거렁벵이 국가로 전락할것이다. 모처럼 호황으로 뻐기고있는데 두고 볼 일이다.
2010-10-28 14:43:02
안으로 썩어 가고 있는걸 모르고 있는게 중국인들의 본성이거든...옛부터 중국본토에서 얼마나 많은 나라들이 생겨났다가 없어 졌냐?...전부가 안으로부터 부폐하거나 했다가 침략을 받아도 방어도 제데로 못하고 쓰러진 경험을쉽게 잊어먹는것도 그들 습관이니...
아기가 태어나면 홍역이란 걸 거처야 하듯이, 중국도 국민이 어느정도 의식주 해결이 되면 여타에 대한 욕구 분출로 대모, 시위에 40여년은 시달려야 될것이다. 이기간 동안 잘 대처 못하면 아르헨처럼 곤두박질로 세계에서 최하위 거렁벵이 국가로 전락할것이다. 모처럼 호황으로 뻐기고있는데 두고 볼 일이다.
2010-10-28 14:43:02
안으로 썩어 가고 있는걸 모르고 있는게 중국인들의 본성이거든...옛부터 중국본토에서 얼마나 많은 나라들이 생겨났다가 없어 졌냐?...전부가 안으로부터 부폐하거나 했다가 침략을 받아도 방어도 제데로 못하고 쓰러진 경험을쉽게 잊어먹는것도 그들 습관이니...
2010-10-28 08:55:07
중국은 이제 곧 조각이상으로 갈라징 꺼여
2010-10-28 08:28:33
동물은 배가부르면 잠을 청하지만 인간은 배가 부르면 지식의 욕망이 시작된다. 중국의 경제 발전으로 인민의 생활이 나아질수록 정치전반의 부패척결과 개혁의 욕구가 거세질 것이어서 중국은 미국을 상대하기 이전에 변화를요구하는 내부의 적들과 힘든 싸움을 해야 할 것.
2010-10-28 06:40:38
로마가 금방 멸망하지 않고 이미 패권을 잃은지 엄청난 세월이 흘러서야 완전히 살아졌지. 그러나 그 멸망은 훨씬 이전으로 계산해야. 미국에 자식 보내고, 미국에 올인한 사람들에게 나인지 게인지 하는 사람의 말이 쏙들어 오겠지. 장래에 대한 불안감... 줄 잘서는 것도 중요하지. 그러나 잘못 줄서면 망하지.. 다른 길은 자신의 전문성을 살려 어떠한 상황 변화에도 적응할수 있는 적응력을 키워야지. 이따위 나약한 글만 인용하지 말고. 꼭 논리적으로이야기해야 볼 수 있나? 세상사 돌고 도는 것이라네.
댓글 5
추천 많은 댓글
2010-10-28 08:55:07
중국은 이제 곧 조각이상으로 갈라징 꺼여
2010-10-28 20:43:32
아기가 태어나면 홍역이란 걸 거처야 하듯이, 중국도 국민이 어느정도 의식주 해결이 되면 여타에 대한 욕구 분출로 대모, 시위에 40여년은 시달려야 될것이다. 이기간 동안 잘 대처 못하면 아르헨처럼 곤두박질로 세계에서 최하위 거렁벵이 국가로 전락할것이다. 모처럼 호황으로 뻐기고있는데 두고 볼 일이다.
2010-10-28 14:43:02
안으로 썩어 가고 있는걸 모르고 있는게 중국인들의 본성이거든...옛부터 중국본토에서 얼마나 많은 나라들이 생겨났다가 없어 졌냐?...전부가 안으로부터 부폐하거나 했다가 침략을 받아도 방어도 제데로 못하고 쓰러진 경험을쉽게 잊어먹는것도 그들 습관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