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에서 만삭의 임산부들이 12월31일 자정까지 아기를 낳기 위해 경쟁을 벌이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아기를 낳을 때마다 정부가 2500유로(375만 원)를 지급하는 '아기수표' 출산장려금 제도가 내년 1월1일부터 없어지기 때문이다. 이 제도는 2007년 출산을 적극 장려하기 위해 도입됐다. 그러나 정부가 재정적자를 줄이기 위해 대대적인 긴축정책을 펼치고 실업률이 20%로 치솟는 등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막차로 이 혜택을 보기 위한 임산부들이 무리수를 두고 있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상황이 심각한 곳은 민간 병원으로 일부에서는 임신 8개월 반 밖에 되지 않은 태아를 무리해서 출산을 하는 경우까지 나오고 있다는 것. 의사들이 산모와 아기의 건강을 우려하면 "큰 문제만 없다면 조금 일찍 낳고 돈을 받는 게 더 좋은 것 아니냐"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발렁시엔의 한 대형병원 의사는 "십여 명의 임산부가 출산이 임박하지 않았는데도 유도분만을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많은 병원들이 12월31일 제왕절개를 해서 아기를 낳게 해달라는 요청을 무더기로 받고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인력이 모자라 임시적으로 간호사를 채용하는 병원이 속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2007년 경제 상황이 좋았을 때 출산과 입양을 장려하기 위해 이 제도가 도입되자 반론이 거셌다. 특히 교회는 미혼모와 독신남들의 입양이 늘 우려가 있다고 반대했다. 전문가들은 "아기수표 제도는 출산율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정작 경기가 후퇴하고 실업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정부가 갑자기 제도를 폐지키로 하자 반발이 예상보다 거세다는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