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니지에 이어 이번에는 이집트 차례입니다. 23년 장기독재를 종식시킨 튀니지 재스민 혁명의 불길이 이웃 이집트로 번졌습니다. 무바라크 대통령은 깜짝 놀라 부통령을 새로 임명하고 총리를 교체했으나 정권 퇴진 목소리는 더욱 거세지고 있습니다. 그는 무려 30년을 집권했습니다.
시위저지를 위해 출동한 탱크와 장갑차에 올라가 "무바라크 물러가라"고 외치는 시위대의 표정에는 두려움이 없습니다. 예멘과 알제리 등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장기독재 국가에서도 반정부 시위가 시작됐습니다. 1989년 동유럽 혁명이 아랍권에서 재연되는 듯한 양상입니다.
1인 독재자의 장기집권은 여론을 묵살하고 국민을 탄압하는 철권통치를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무바라크도 국민의 목소리에 귀를 막고 반대 세력을 힘으로 억눌렀습니다. 그는 9월 대선에서 6선에 도전하거나 차남에게 권력을 넘길 준비를 하다 민심의 역풍을 만났습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독재에 대한 저항을 촉발시키고 시위대를 불러 모은 것도 닮은꼴입니다. 이집트 정부는 트위터 페이스북 차단에 이어 인터넷 서비스까지 중단했지만 역부족입니다. 부패 권력을 숨길 수 없는 시대가 온 것이죠.
무바라크가 민주화 열망을 잠재우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100명이 넘게 희생된 유혈사태에 대한 책임을 총리 교체로 모면할 수는 없을 겁니다. 엘바라데이 전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도 귀국해 반정부 세력의 결집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미국을 포함한 서방국가는 아랍세계의 맹주인 이집트의 위상을 고려해 그동안 무바라크를 지지해왔습니다. 그러나 이집트 국민의 저항은 미국도 변하게 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무바라크에게 직접 정치개혁을 촉구했고, 워싱턴포스트는 "이집트의 평화적 정권교체를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아프리카 대륙과 중앙아시아의 장기독재자들에게 튀니지에 이은 이집트의 민주화 시위는 남의 일이 아닐 겁니다. 특히 김일성 김정일 부자의 66년 독재도 모자라 3대 세습을 획책하고 있는 북한에 미칠 영향이 관심사입니다. 김정일 김정은 부자가 무서워서 벌벌 떨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북한의 장기독재도 언젠가는 무너집니다. 아랍권의 민주화 투쟁이 그 날을 앞당기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동아논평이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