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광둥(廣東) 성의 수출기지 둥관(東莞)에 있는 한국계 완구공장의 도산을 계기로 중국에서 경제위기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1994년부터 둥관에서 공장을 운영해 온 한국계 완구기업이 종업원 470명의 월급을 지급하지 못해 최근 도산했다고 21일 중국 언론이 전했다. 지난달 중순에도 둥관에서 종업원 2000명의 중국계 기업이 도산했다. 둥관은 중국 최대 수출입기지인 광둥 성 수출입물량의 15% 안팎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 언론은 수출입 핵심도시인 둥관에서 2개의 주요 기업이 잇따라 도산한 것은 2008년 금융위기보다 더한 위기의 신호라고 분석했다. 관영 신화(新華)통신은 둥관의 수출담당 공무원의 말을 인용해 생산비가 11.4% 오르면서 해외 주문은 15% 감소하고 기업 영업이익률은 2∼3%로 떨어졌다고 21일 보도했다.
광저우(廣州)일보 등은 관내 중소기업들이 △은행대출의 어려움 △임금 등 생산비 상승 △위안화 평가절상 등으로 곤란한 지경에 처해 있다고 보도했다. 일부 기업은 농민공들이 오지 않아 일손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토로했다. 특히 완구와 방직 분야에서 직격탄을 맞고 있다.
둥관 시는 부랴부랴 불끄기에 나섰다. 장링(江凌) 둥관 부시장은 이날 “재료값과 인건비 등 생산비 상승에 따른 압력은 있지만 전체 상황은 괜찮다”며 “올해 상반기 수출입은 역사상 가장 좋았던 지난해 상반기보다도 14.1%나 늘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위기의식은 여전하다. 중국 전국공상연합회가 최근 중국 31개 성시 가운데 17개 성시의 중소기업을 상대로 한 조사 결과 중소기업의 생존환경은 2008년 금융위기 초기 수준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관계자는 “신설 법인과 부도 법인의 수를 비교할 때 아직 연쇄도산이 있을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