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연쇄테러 참사가 ‘외로운 극단주의자(lone extremist)’의 증오범죄로 드러나면서 전 세계에 다시 한번 경종을 울리고 있다. ‘이슬람 극단주의자에 의한 테러’ 대응만 강조하다 보니 이슬람과 무관한 나라들은 테러를 남의 일처럼 생각하기 일쑤였다. 하지만 이번 사건처럼 자생적인 극우 극단주의자의 증오범죄가 시간과 장소, 인종을 가리지 않고 벌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대책 마련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007년 4월 미국 버지니아공대 총기난사, 1995년 4월 미 오클라호마 주정부 청사 폭탄테러 사건 등도 모두 증오에서 비롯된 범죄였다. 특히 이번 테러는 그 나라에서 자라난 자생적 테러범이 불특정 다수의 자국민을 겨냥해 주도면밀하게 테러를 계획했다는 점에서 오클라호마 폭탄테러와 여러모로 유사하다는 분석을 낳고 있다.
선진국일수록 예측할 수 없는 ‘묻지 마 테러’의 위험성에 더욱 취약하다. 사회의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여러 이유로 불만을 가지게 된 사람들이 문제의 책임을 외부에 전가하고 반사회적 행동을 저지르게 되는 것. 특히 공동체 의식이 사라지고 개인주의가 팽배하는 현대사회에서 이웃에게 소외된 은둔형 외톨이가 늘어나는 것은 매우 우려되는 일이다. 사회적 박탈감과 불신불만이 불특정 다수를 향한 계획적이고 가학적인 범행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총기 소유가 합법화된 나라들일수록 대형 테러가 벌어질 가능성이 커진다.
문제는 이러한 증오범죄를 막을 뾰족한 대책이 없다는 점. 노르웨이 연쇄테러는 아네르스 베링 브레이비크가 생애 최초로 저지른 범행이었다. 조승희와 티머시 맥베이의 사례도 마찬가지였다. 최초의 범행이기 때문에 예방하기가 어렵다.
가장 효과적인 대책은 사회가 증오를 낳을 수 있는 구조적 모순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없애거나 관리하느냐에 달렸다. 또 평소 욕구불만을 보이거나 반사회적 경향을 보이는 사람들을 관찰하고 치료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회구성원들이 소외된 이웃의 친구가 돼주기 위해 적극 노력을 한다면 증오범죄는 크게 줄어들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