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11테러는 미국 국민의 삶과 사고방식을 바꿔놓았다. 10년이 지난 지금도 그날의 상처를 안고 사는 사람이 여전히 많다. 이민으로 세워진 미국이지만 다른 인종과 다른 국가 출신에 대한 보이지 않는 마음의 장벽도 높아졌다. 하지만 가해자를 용서하고 화해를 통해 새로운 희망을 키우려는 씨앗은 꾸준히 뿌려지고 있다. 그날 이후 달라진 삶을 살고 있는 평범한 미국인의 이야기를 시리즈로 들어본다. 》 1일 새벽 미국 캘리포니아 주 멘로파크 시 인근 자택에서 잠을 자던 해럴드 스카펠하우먼 씨는 헉헉대며 잠에서 깼다. 자다가 갑자기 숨을 쉴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절망의 한숨을 내쉬었다.
멘로파크 소방보호구역 소방대원이던 그는 2001년 9·11테러 직후 뉴욕의 월드트레이드센터(WTC) 붕괴 현장 구조작업에 투입됐다. 구조작업은 소방관 및 구조요원 343명이 목숨을 잃을 정도로 위험했지만 평생 자부심으로 남을 만한 값진 경험이었다. 그러나 그 후 어느 날부터 한밤중에 숨쉬기 힘들 때가 잦아져 어느새 10년째 이어지는 고질이 됐다.
“내가 마치 폐기종을 앓는 80세 노인 같다는 생각을 자주 합니다. 그날 이후 10년이 지났지만 나에게 이런 일이 일어났다는 게 믿기지 않습니다. 40대로 젊은 내가 감당하기에는 힘든 고통입니다.”
스카펠하우먼 씨 외에도 당시 잔해와 먼지 속에서 구조 활동을 펼쳤던 소방관 중에는 이른바 ‘WTC감기(cough)’로 불리는 천식을 10년째 달고 사는 사람이 많다. 지금은 소방대장이 된 스카펠하우먼 씨는 소방관으로서 사명감에 넘치면서도 한편으론 “만약 당시 현장에 가지 않았더라면 이런 고통은 없었을 것이란 후회가 들 때가 있다”고 털어놓는다. 1일 의학전문지 랜싯은 뉴욕 소방관 9853명의 의료 기록을 추적한 결과 현장에 있었던 소방관들은 암 발병률이 일반인보다 19%가 높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뉴욕경찰 수사관이었던 앤서니 야코피노 씨는 2001년 9월 11일 오전 8시 46분 유나이티드에어라인 175기가 WTC 남쪽 빌딩을 무너뜨리는 모습을 뉴욕 롱아일랜드 고속도로 위 출근길에서 목격했다. 급하게 현장에 도착한 그날 이후 6개월 동안 그는 시신을 찾는 일을 돕고 시신 매립지에서 잔해를 옮기는 일을 했다. 야코피노 씨는 뉴욕데이 인터뷰에서 “주체할 수 없는 분노와 좌절, 말로 표현하기 힘든 충격과 상실감을 느꼈던 시간들이었다”고 회상했다.
당시 충격이 그의 인생을 얼마나 바꿔놓았는지는 시신 매립 근무가 끝난 1년 뒤인 2003년 3월에야 알게 됐다. 아침에 일어난 그는 이유를 알 수 없는 불안증세에 시달렸다. 가슴이 심하게 뛰어 참을 수가 없었다. 급히 병원을 찾았다. 의사는 “심장에는 이상이 없다. 극도의 공포를 느끼는 공황장애 같다”고 말했다. 그는 그 자리에서 울음을 터뜨렸다고 한다. 이후 더욱 잦아진 공황장애 증세를 보이다 그는 결국 4개월 뒤 업무 현장에서 쓰러지고 말았다.
야코피노 씨는 9·11테러가 발생한 지 10년이 지난 지금도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겪고 있는 1000여 명의 뉴욕 롱아일랜드 주민 중 한 명이다. PTSD는 큰 사고나 전쟁 등을 겪은 이후 찾아오는 일종의 공황장애다. 테러로 인한 직접적인 희생이 아니더라도 테러현장을 목격하는 간접적인 경험만으로도 심각한 정신적 후유증을 남기는 것이다. 9·11테러 직후 PTSD 진단을 받은 롱아일랜드 주민 5000여 명 중 20%가 여전히 치유되지 않는 그날의 악몽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미국 전체로는 8600여 명이 여전히 이 병으로 고통 받고 있다.
야코피노 씨의 주치의인 롱아일랜드대 9·11가족센터장 토머스 더마리아 교수(정신의학)는 1일 동아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지금도 9·11테러가 준 정신적 충격 때문에 새로운 환자들이 센터로 찾아온다”며 “시간이 지날수록 환자가 줄어야 하는데 PTSD 환자는 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신적 상처가 이렇게 오래 지속된다는 게 의학계에서도 연구 대상”이라고 말했다. PTSD를 포함해 후유증을 앓는 것으로 등록된 사람은 총 2만7000명에 달한다.
WTC 인근에 거주했던 지역 주민들에게도 그날의 사건은 영원한 상처다. 무엇보다 9·11테러가 점점 잊혀진다는 것은 현장에서 참사를 목격했던 이들에겐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기도 하다. 당시 WTC 내에서 구사일생으로 생존한 ‘생존자네트워크’ 대표인 리처드 짐블러 씨는 WTC 바로 맞은편 금융회사에서 사고 순간을 목격했다. 그는 “시 당국 및 건설업체가 테러 당시 WTC의 유일한 지상 탈출구 역할을 했던 베세이 스트리트의 계단을 철거하려고 해 이에 맞서 수년째 싸움을 벌였다”고 전한다. 리노베이션을 맡은 시공업체가 새 빌딩을 짓기 위해 이른바 ‘생존 계단’으로 불리는 구조물을 철거하려 했지만 단체의 격렬한 반대로 결국 12일 일반인에게 공개되는 ‘9·11박물관’으로 옮겨지게 됐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