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6명중 1명 빈곤층… “중산층이 망가졌다”

  • 동아일보
  • 입력 2011년 9월 15일 03시 00분


두꺼운 중산층을 바탕으로 한 안정된 경제구조가 트레이드마크였던 미국이 빈곤층의 급속한 증가와 얇아지는 중산층으로 인한 양극화 현상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미국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빈곤층은 4620만 명으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59년 이후 5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민 6명당 1명꼴로 빈곤층인 것으로 나타나 빈곤층 비율이 17년 만에 1993년과 같은 수준인 15.1%로 떨어졌다.

미 통계청은 4인 가구 기준 연간 소득 2만2314달러(약 2410만 원) 미만을 빈곤층으로 분류하고 있다. 빈곤층 비율은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59년 22.4%로 가장 높았으나 계속 하락해 1966년 15% 아래로 떨어지다 2000년에는 11.3%까지 떨어졌다. 통계청이 데이터를 공개한 1980년 이후 빈곤층이 15%를 넘어선 것은 1983년(15.2%), 1993년에 이어 2010년이 세 번째다.

지난해 통계는 ‘빈곤의 질’도 갈수록 나빠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빈곤층이 증가하는 기간이 가장 길고 증가 속도 또한 가장 가파르다. 빈곤층 비율이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 상승했으며 이 4년간의 상승률을 모두 합하면 34.4%에 이른다. 연평균 8.6%씩 증가한 셈이다. 4년 연속 상승한 과거 2000∼2004년(총상승률 12.3%, 연평균 3.1%)과 1989∼1993년(총상승률 18%, 연평균 4.5%)과 비교하면 얼마나 빠른 증가 속도인지 알 수 있다.

하버드대 로렌스 카츠 교수(경제학)는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을 감안할 때 중산층의 소득이 이렇게 오랜 기간 오르지 않은 것은 대공황 이후 처음”이라며 “지난 10년은 진정 잃어버린 세대다”라고 말했다. 그는 “중산층이 망가진 모습은 1990년 후반에 보았던 것 이상이며 한번 어긋나면 다시 돌아오기는 굉장히 어렵다”고 덧붙였다.

빈곤층 증가는 실업률 상승과 가계소득 감소에 따른 것이다. 가계소득 감소는 중산층에서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중산층의 경제상황을 알 수 있는 중간계층 가구 연간 소득은 4만9445달러(약 5340만 원)로 최고치를 기록한 1999년보다 7.1%나 떨어졌다. 중간계층의 가구소득이 5만 달러를 밑돈 것은 1997년 이후 13년 만에 처음이다. 더 우려스러운 것은 미 정부의 재정지출 감축으로 공무원과 교사 등의 월급이 줄고 퇴출이 늘면서 빈곤층의 증가는 더욱 빨라질 것이라는 점이다.

빈곤층 증가가 이처럼 빠르게 진행되다 보니 양극화 속도도 빠르다. 미국 내 양극화가 얼마나 심화되고 있는지는 소득계층별로 보면 더욱 뚜렷하다. 소득하위 10%의 중간소득(median income)이 최고치를 기록했던 1999년보다 12%나 떨어진 반면 상위 10%의 중간소득은 같은 기간 1.5% 감소에 그쳤다.

미국 내 양극화는 정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빌 클린턴 정부 시절 노동부 장관을 지냈던 로버트 라이시 버클리대 교수(공공정책학)는 3월 출간한 ‘위기는 왜 반복되는가’라는 저서에서 “미국 사회의 양극화가 경제위기의 진정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자신의 블로그(robertreich.org)를 통해서도 “성장 과실을 부유층이 독점하고 있는 반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붕괴된 중산층의 좌절감과 상대적인 박탈감이 변질된 정치 행태로 표출될 가능성”을 우려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부유층에서 세금을 더 거둬 중산층의 일자리를 마련해야 한다는 내용을 뼈대로 한 일자리창출법안을 더욱 강력하게 밀어붙일 것으로 보인다. 반면 야당인 공화당은 빈곤층 증가는 오바마 대통령의 실정 탓이라고 주장하면서 정치 공세를 펼칠 것이라는 게 미국 언론들의 분석이다.

뉴욕=박현진 특파원 witness@donga.com
  • 좋아요
    1
  • 슬퍼요
    0
  • 화나요
    1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1
  • 슬퍼요
    0
  • 화나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