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민주당 전당대회 마지막 날인 6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던진 이 한마디에 3만 명이 운집한 노스캐롤라이나 주 샬럿의 타임워너 케이블 아레나는 떠나갈 듯한 함성으로 가득 찼다.
4년 전 그저 단순한 대통령 후보로 연설할 때와 달리 젊은이들을 전쟁터에 보내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알고 전쟁에서 자식을 잃은 부모들과 포옹해본, 집을 잃은 가정과 직장을 잃은 노동자들의 고통과 좌절도 함께 나눈 ‘경험이 있는’ 대통령으로서 다시 대선후보가 됐다는 것이다.
세계 초강대국 최고 통수권자로서의 자신감과 책임감을 응축한 이 말은 지난 4년 동안 자신이 이룬 성과를 과시하는 동시에 아직 해결하지 못한 국가적 과제를 완수할 수 있도록 4년 더 시간을 달라는 호소이기도 했다.
11월 6일 대선에서 맞붙는 밋 롬니 공화당 대선후보와 초박빙의 접전을 벌이고 있는 오바마는 유권자들의 심금을 울리는 감성적 연설을 할 것이라는 당초 예상과는 달리 향후 4년간 펼칠 구체적인 정책 청사진을 제시하는 데 주력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힘들지만 진실을 말하겠다. 우리 앞의 도전을 해결하려면 앞으로 몇 년이 더 필요하다”며 경제회복의 임무를 마치지 못했음을 인정했다. 이어 “부유층 세금 감면, 월가 규제 완화 등 공화당의 해법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재선에 성공한 뒤 펼칠 정책을 국가안보 경제 교육 에너지 등 분야별로 상세하게 제시했다.
롬니에 대한 비판도 한층 업그레이드했다. 런던 방문 때 올림픽 준비 상황을 문제 삼은 롬니의 말실수에 빗대 “이런 사람이 어떻게 베이징(北京)과 외교를 할 준비가 됐겠느냐”고 비꼬기도 했다. 또 공화당의 외교정책을 비판하면서 전쟁 종식과 방지를 통해 아낀 돈을 경제에 투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바마는 ‘변화’와 ‘희망’의 메시지도 잊지 않았다. 건강보험 개혁 덕분에 심장수술을 받게 된 소녀, 불법이민 추방 유예 조치 덕분에 미국에 살 수 있게 된 대학생 등 평범한 미국인들의 사례를 거론하며 “변화를 가능하게 한 것은 내가 아니라 나의 동료 시민들이며 이들이 있기에 미국이 어떤 도전도 물리칠 수 있다는 희망이 있다”고 연설의 대미를 장식했다.
이에 앞서 지난해 애리조나 총기사건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난 개브리엘 기퍼즈 전 하원의원이 부축을 받으며 무대에 등장해 다소 어눌한 발음으로 ‘국기에 대한 맹세’를 낭독해 청중이 감격의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조지프 바이든 부통령과 차기 오바마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으로 거론되는 존 케리 상원의원은 롬니의 외교 경험 부족을 비판했다. 케리는 “4년 전보다 살림살이가 나아졌느냐”는 공화당 구호에 빗대어 “죽은 빈라덴에게 4년 전이 좋은지 지금이 좋은지 물어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