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승장구하던 남아공 경제 잇단 경고음… 무슨 일이?

  • Array
  • 입력 2012년 10월 25일 03시 00분


코멘트

집권당 부정부패가 ‘발목’ 신용등급 추락… 성장률 ‘뚝’
빈부격차에 전국적 파업도

1994년 인종차별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를 철폐한 뒤 승승장구하던 ‘아프리카의 맹주’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추락하고 있다.

신흥경제대국 브릭스(BRICS)에 가입할 정도로 경제도 성장했으나 역설적이게도 정치 경제적 번영을 이끌었던 집권당 아프리카민족회의(ANC)의 부정부패가 발목을 잡고 있다.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최근 남아공엔 ‘입찰사업가(tenderpreneur)’란 신조어가 유행이다. 정부사업 입찰(tender)에 관여해 기업가(entrepreneur)처럼 부를 축적하는 정치인이나 관료를 일컫는다.

과거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이 이끌었던 ANC는 아파르트헤이트를 없애고 해외자본을 유입해 나라를 발전시켰다. 하지만 1999년 만델라가 물러난 뒤 ‘고인 물은 썩기 시작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최근 보도했다. ANC 1당 집권 체제가 지속되면서 집권당이 너무 많은 권한을 가진 게 독약이 됐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극심한 빈부격차다. 남아공은 백금과 우라늄 등 풍부한 광물자원을 바탕으로 올해 국내총생산(GDP)이 4199억 달러(약 464조 원)에 이를 만큼 성장했다. 인구 4900만 명인 남아공의 1인당 GDP는 지난해 기준으로 8201달러에 이른다. 하지만 소득불평등을 가늠하는 지니계수는 0.63으로 1993년 0.59보다 오히려 악화됐다.

이코노미스트는 “아프리카 제1의 경제대국이란 명성이 무색하게 실업률이 40%를 넘는다”며 “상위 10%는 갈수록 부유해지고 하위 50%는 하루 2달러로 생계를 연명한다”고 지적했다.

빈부격차의 심화는 올해 전국적 파업이란 악순환을 낳았다. 8월 백금 광산 파업시위 도중 34명이 숨진 ‘마리카나 사태’를 비롯해 분야와 지역을 가리지 않고 분규가 이어졌다. 환경미화원과 경찰까지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NYT는 “연쇄파업으로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해외투자자본이 빠져나가는 이중고가 밀어닥쳤다”고 분석했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지난달 남아공의 신용등급을 A3에서 Baa1으로 한 단계 내린 데 이어 이달 12일에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한 단계 낮췄다. 화폐가치도 올해 3월 달러당 7.44랜드에서 현재 8.72랜드로 급락했다. 남아공 중앙은행은 올해 자국 경제성장률이 2.6%에 머물러 아프리카 평균인 5%에도 못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정양환 기자 ray@donga.com
#남아공#부정부패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