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원자바오 축재 보도후 中해커 공격받아”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1월 31일 16시 54분


중국군 연루 의혹 제기…중국 "터무니 없는 주장" 일축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지난해 원자바오(溫家¤) 중국 총리 일가친척의 축재 기사가 나간 뒤 중국군과 연관성이 의심되는 해커들의 공격을 받았다고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YT는 지난해 10월 25일 원자바오 일가가 3조원 대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는 기사가 보도된 이래로 4개월간 해커들이 계속 공격을 했다고 밝혔다.

해커들은 원자바오 일가 축재 기사를 작성한 뉴욕타임스 상하이 지사장 데이비드 발보사와 전 베이징 지사장 짐 야들리의 이메일 계정에 들어갔다.

질 에이브럼슨 뉴욕타임스 편집인은 "발보사에게 정보를 제공한 인사들의 이름을 찾는 것으로 보였다"며 "그러나 해커들이 원자바오 기사와 관련해 민감한 이메일이나 파일에 접근하거나 내려받고 복사한 증거는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

해커들은 모든 임직원의 비밀번호를 빼냈으며 그 중 임직원 53명의 개인 컴퓨터에 접근하려고 했다. 이들은 대부분 편집국 밖에 있는 인물들이다.

해커들은 원자바오 기사와 관련 없는 정보를 찾으려 한 흔적은 없으며 고객 정보를 훔치지도 않았다.

컴퓨터 보안 전문가들은 해커들의 수법을 볼 때 중국군과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고 진단했다.

뉴욕타임스가 이번에 고용한 컴퓨터 보안업체 맨디언트는 "개별적인 공격을 보면 중국군의 소행이라고 말할 수 없다"며 "그러나 같은 집단이 중국 반체제 인사와 티베트 활동가와 관련된 자료를 훔치고 항공사를 공격한 것을 보면 그렇게 판단된다"고 말했다.

앞서 블룸버그도 지난해 시진핑 일가의 축재 기사를 보도한 뒤 중국 해커들의 공격을 받은 바 있다.

그러나 중국은 이 같은 해킹 연루설이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일축했다.

31일 AFP 통신에 따르면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뉴욕타임스의 터무니없는 비난에 대해서는 관계 당국이 이미 분명한 입장을 밝혔다"면서 "중국이 해킹 공격에 참여했다는 확실한 증거 없이 독단적 결론을 내리는 것은 아주 무책임하다"고 비판했다.

앞서 중국 국방부도 "명백한 증거 없이 중국군이 사이버공격을 했다고 비난하는 것은 비전문적이다"고 말했다.

NYT는 원자바오 총리 기사가 나가기 전 중국 정부 관계자들의 경고를 받고서는 AT&T에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감시해달라고 요청했다.

이후 실제 해킹 공격이 들어오자 연방수사국(FBI)에 보고했으며 작년 11월 7일에는 맨디언트를 고용했다. NYT는 힘든 작업 끝에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해커들을 내쫓았다고 밝혔다.

<동아닷컴>
  • 좋아요
    1
  • 슬퍼요
    0
  • 화나요
    1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1
  • 슬퍼요
    0
  • 화나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