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국제
이모, 고모가 모두 엄마?…엄마가 셋인 아기 사연 ‘뭉클’
동아일보
업데이트
2013-02-28 00:49
2013년 2월 28일 00시 49분
입력
2013-02-28 00:49
2013년 2월 28일 00시 49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영국 잉글랜드 에식스 카운티에 사는 생후 6개월 된 베아트릭스는 엄마가 세 명이다.
호적상 어머니와 난자를 제공한 유전적 어머니, 자신을 뱃속에서 길러 낳아준 어머니가 모두 다르다.
더욱 놀라운 건 유전적 어머니는 이모이고, 낳아준 어머니는 고모이다.
어떻게 이러한 일이 가능했을까?
데일리메일 등 영국 매체들은 아기를 가질 수 없었던 데이비드(33)와 케이티(31) 슬레이드 부부가 기적처럼 딸아이를 얻게 된 사연을 26일(이하 현지시각) 소개했다.
초등학교 교사인 케이티는 어릴 때 희귀 유전 질환으로 생식기관에 문제가 있어 평생 아기를 가질 수 없다는 진단을 받았다. 사랑하는 남편 데이비드를 만나 결혼을 했지만, 아기를 포기할 수가 없었다. 입양할 수도 있었지만 자신들의 피가 섞인 아이를 갖고 싶었다.
두 사람의 마음고생을 두고 볼 수 없었던 케이티의 여동생 루시 마크스(27)와 데이비드의 누나 제이미 앨런(35)은 이들이 부모가 될 수 있도록 돕기로 했다.
루시가 난자를 제공하고, 제이미가 대리모 역할을 해주기로 한 것이다.
루시는 언니인 케이티가 불임 진단을 받았을 당시, 때가 되면 언니에게 난자를 제공해주겠다고 약속을 했다.
몇 년 후 데이비드와 결혼한 케이티는 아기를 갖고 싶은 마음에 루시에게 정말로 난자를 제공해줄 수 있는지를 물었다.
케이티는 "루시가 날 위해 당연히 난자를 제공해줄 거라고 말하는데 눈물이 터졌다"며 "그 말은 유전적으로 아기가 우리 부부와 연결될 수 있다는 뜻이었기 때문이다"라며 당시를 떠올렸다.
하지만 미혼인 루시는 임신한 적이 없었기 때문에 루시에게 대리모 역할까지 부탁할 수는 없었다고 케이티는 말했다.
케이티는 "날 위해 루시가 대리모를 해줄 경우, 여동생에게는 첫 임신이기 때문에 아기를 나에게 보내주기가 어려웠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케이티와 데이비드는 대리모를 찾아보려 했으나, 대리모 여성이 마지막 순간에 아기를 놓아주지 않으려 한다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이마저도 꺼리게 됐다.
두 사람은 이러한 고민을 데이비드의 누나인 제이미에게 털어놨고, 제이미는 자신이 대리모를 해주겠다고 답했다.
남편 웨인과의 사이에서 자녀를 셋 낳은 제이미는 자신이 대리모 역할을 하기에 딱 맞는 것 같았다며, 아기를 낳은 뒤 기쁜 마음으로 아기를 보내줄 수 있을 거라 확신했다고 말했다.
모든 합의는 이뤄졌고, 데이비드의 정자와 루시의 난자를 체외수정시켜 그 배아를 제이미의 자궁 안에 이식했다.
2011년 12월 24일, 제이미의 임신 소식이 들려왔고 이듬해 9월 1일 딸 베아트릭스가 태어났다.
케이티는 "처음 딸을 품에 안고 루시와 제이미, 데이비드를 바라봤다. 우리 모두가 베아트릭스의 탄생을 위해 힘을 모았다는 게 정말 믿을 수 없이 놀라웠다"고 말했다.
이어 "베아트릭스는 우리 모두의 딸이고 우리가 이뤄낸 기적"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데이비드도 "우리가 한 아이의 부모가 됐다니 아직도 믿기지 않는다. 우린 정말 최고로 운이 좋은 부부인 것 같다"며 "우리의 꿈을 이뤄준 처제와 누나에게 평생 감사하며 살겠다"고 고마움을 표했다.
루시는 "베아트릭스를 너무나도 사랑한다. 그녀는 경이로움 그 자체이다. 베아트릭스의 탄생을 위해 내 난자가 쓰였지만, 베아트릭스는 영원히 내 조카이다"라고 전했다.
베아트릭스를 9개월 동안 뱃속에 품은 제이미는 "남동생 부부를 위해 아기를 품고 있는 것이 너무 행복했다"면서 "베아트릭스는 내 아이가 아니다. 난 그 사실을 잊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정아 동아닷컴 기자 cja0917@donga.com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지금 뜨는 뉴스
“기후변화 지금 속도면 2100년엔 5월부터 폭염 시작”
개통 2개월 만에 동해선 사망 사고…근덕역서 30대 근로자, 작업차에 치여 숨져
권영세 “尹 하야, 현실적으로 고려되지 않아…이재명 우클릭하는 척만”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