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남부의 하버드대’로 불리는 대표적인 명문대인 듀크대 여학생이 비싼 학비를 벌기 위해 포르노 영화에 출연해 논란이 되고 있다.
9일 CNN의 간판 토크쇼인 ‘피어스 모건 투나잇’에는 듀크대 1학년생 벨 녹스 씨(19·사진)가 나왔다. 웬만한 유명 인사도 나오기 어려운 이 프로그램에 그가 나온 이유는 포르노 영화에 출연했기 때문이다.
이 사실이 처음 알려진 것은 듀크대 남학생이 인터넷에 “음란영화에 출연하는 우리 학교 여학생이 있다”는 글을 올린 이후다. 소문이 급속도로 퍼지자 듀크대 학보는 2월 이 여학생을 찾아 인터뷰했다. 가명으로 인터뷰한 녹스 씨는 “6만 달러(약 6400만 원)의 학비를 벌기 위해 ‘오로라’라는 이름의 포르노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고 고백했다. “처음에는 무서웠지만 찍고 나니 상상할 수 없는 즐거움이 밀려왔다. 스릴과 자유, 힘을 안겨줬다”며 ‘포르노 예찬론’을 펴기도 했다.
솔직하면서도 도발적인 인터뷰가 나간 뒤 신상 털기가 시작됐다. 여성학을 전공하고 있는 녹스 씨는 지난주 인터넷에 스스로 실명과 얼굴을 공개하며 당당하게 맞섰다.
녹스 씨는 여성전문 웹사이트 xoJane.com에 올린 글에서 “학생으로서의 정체성과 포르노 영화배우로서의 정체성은 각각 다르다. 그 누구도 아닌 내 스스로가 이를 통제한다”며 “오늘 나는 포르노 배우로서의 정체성을 세상에 공개키로 했다. 내 이름은 벨 녹스이며 자부심을 안고 내 ‘주홍글씨’를 기꺼이 지니고 가겠다”고 밝혔다.
녹스 씨는 이어 CNN에 출연해 ‘음란물에 대한 이중잣대’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는 “전 세계 인터넷 트래픽의 80%가 포르노물이다. 사회가 나를 소비하면서 비난을 퍼붓는 것은 지극히 위선적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발언 이후 듀크대 여론은 크게 갈렸다. “학교의 명예를 더럽혔다”는 비난도 일고 살해 협박도 받고 있지만 그를 지지하고 응원하는 여론도 만만치 않다.
댓글 10
추천 많은 댓글
2014-03-11 13:44:53
미국 50-100위 2000만원. 100위 이하 1000만원정도 합니다. 그리고 자국인에게는 상당한 장학금과 국가 지원 혜택이 있읍니다. 그러나 유학생에게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됩니다. 한국의 경우 외국인이 자국인 학생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부 시키는 코메디나라 입니다
2014-03-11 10:32:55
저 사람을 비롯한 포르노배우가 대부분 사람들에게 물질적, 정신적 피해를 주었나? 아니지요! 왜? 포르노배우를 천박하게 "이야기' 하는가? 천박하다 '생각'을 자유이니 할 수 있어도 비판하는자는 속과겉이 다른 더 도덕적 야만, 타락자이다!!!
2014-03-11 10:30:53
포르노배우에 대한비판론- 본인 말대로 대부분 사람들이 포르노를 소비, 즐기면서 "적극적, 죄악시하는 비판"은 아주 부적절하다고 생각함. 이런 류에 대한 비판은 "소극적이고 외부 발설을 하지않는 비판 " 내지 "비판없슴 의견"정도가 적절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