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전역을 휩쓴 흑사병…원인은 유럽 쥐 아닌 아시아 모래쥐였다?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2월 25일 16시 33분


코멘트
14세기 유럽을 휩쓴 흑사병(페스트)의 원인이 유럽의 쥐들이 아니라 아시아 모래쥐(gerbil)와 모르모트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애완동물로 키워지는 모래쥐와 모르모트가 흑사병을 퍼뜨렸는데 생김새가 흉측한 일반 쥐들이 애꿎은 누명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영국 가디언 등 주요 외신은 24일 노르웨이 오슬로대 연구팀이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에 발표한 논문을 인용해 “중앙아시아에 사는 모래쥐와 모르모트, 들다람쥐가 페스트를 유럽에 들여왔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아시아와 유럽에서 흑사병이 창궐한 7700여 곳의 환경 데이터를 수집한 뒤 당시 급격한 기후변화 여부를 추정하기 위해 나무의 나이테와 비교했다. 그러자 흥미로운 사실이 드러났다.

유럽의 기후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중앙아시아에서 설치류가 쉽게 번식할 수 있는 따뜻하고 습한 기후가 만들어졌다는 것. 이 곳에서 모래쥐와 모르모트의 개체수가 크게 늘자 페스트균의 숙주인 벼룩도 함께 증가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흑사병은 유럽 내에서 쥐들이 갑작스럽게 증가하면서 번진 것으로 알려져 왔다.

연구팀에 따르면 모래쥐들은 무역상과 낙타가 오가는 실크로드를 따라 떼를 지어 유럽으로 건너갔다. 당시는 실크로드가 완전히 개척돼 동서양 교류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였다. 1347년 지중해의 한 항구에서 발병한 흑사병은 이후 6개월간 유럽 인구의 30%를 줄였다.

이후 19세기까지도 간헐적으로 발병이 계속된 흑사병 때문에 전체 사망자 수는 7000만~2억 명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논문의 제1저자인 보리스 슈미드 박사는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모래쥐 등이 유럽으로 이동할 때마다 흑사병이 크게 번진 사실이 확인됐다”고 가디언에 전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에 신뢰성을 더하기 위해 흑사병으로 죽은 사람들의 유해에서 박테리아를 추출한 뒤 DNA를 분석할 계획이다. 그들은 14~19세기에 걸쳐 주기적으로 박테리아가 유전적 변형을 일으킨 뒤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건너간 것으로 보고 있다. 영국 인디펜던트는 “이 가설이 맞는 것으로 확인된다면 중세 유럽의 역사는 다시 쓰여져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최창봉 기자 ceric@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