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념보다 실용” 단호한 리더십으로 强小國 이뤄낸 거인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3월 24일 03시 00분


코멘트

[‘싱가포르 國父’ 리콴유 타계]

1인당 국민소득이 400달러에 불과했던 가난한 어촌마을을 5만 달러가 넘는 부강한 나라로 탈바꿈시킨 리콴유(李光耀) 전 싱가포르 총리는 박정희(한국) 장제스(대만) 덩샤오핑(중국)과 함께 아시아의 도약을 이끈 아시아 1세대 창업형 지도자 중 마지막 생존자였다.

지난해 싱가포르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5만6113달러로 세계 8위, 아시아 1위이며 세계경제포럼(WEF) 조사 국가경쟁력은 세계 2위, 국제투명성기구 조사 국가청렴도는 세계 5위다. 이런 싱가포르를 있게 한 주인공이 리콴유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1923년 사업가 집안에서 태어난 리콴유는 어릴 적부터 수재 소리를 들으며 싱가포르 명문 래플스학교를 수석 입학하고 수석 졸업을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이 터져 일본군이 고향을 점령하면서 일본군 선전 정보부에서 번역 일을 하거나 고무풀 장사 등을 하며 생계를 이어야 했다. 그는 훗날 자서전에서 “일본군 치하를 겪으며 권력을 차지하고 사람을 다스리는 정치의 속성을 몸으로 익혔다. 정부가 왜 필요한지 깨달은 시기이기도 했다”고 적었다.

세계대전이 끝나자 영국 유학을 떠나 런던정경대, 케임브리지대에서 법학을 전공한 리콴유는 변호사 자격증을 따고 1950년 고국에 돌아와 노동전문 변호사로 일하다 서른한 살 때 정치에 뛰어들어 1954년 창당한 ‘인민행동당’ 사무총장직을 맡았다.

5년 뒤인 1959년 싱가포르가 자치권을 얻어낸 뒤 실시한 총선에서 인민행동당이 51석 중 43석을 휩쓸며 압승하자 서른여섯의 나이에 총리가 된다. 이후 1965년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연방에서 독립하자 초대 총리로 취임해 1990년 퇴임할 때까지 26년간 일했다. 자치정부 시절까지 합하면 무려 31년을 총리로 재직해 세계에서 가장 오래 일한 총리로 기록됐다. 독립 당시 400달러 수준이던 싱가포르의 1인당 GDP는 그가 퇴직한 1990년에 1만2750달러를 달성했다.

리콴유는 자원도 인구도 부족한 도시국가인 싱가포르가 살기 위해서는 남의 힘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1963년 국민투표를 통해 말레이연방에 가입하지만 연방의 맹주 말레이시아와 충돌을 빚다 2년 만에 탈퇴한다. 그가 정치노선의 핵심 키워드로 ‘실용주의’를 갖게 된 배경이 되는 일이었다.

이후 그는 특정 이념에 경도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반식민주의-온건 사회주의-강경 반공주의를 넘나들면서 싱가포르를 통치했다. 2007년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싱가포르의 이념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나오자 “우리는 이념에서 자유롭다. 잘 작동한다면 시도해라. 좋다면 계속해라. 작동하지 않는다면 던져 버리고 다른 것을 시도해라. 이게 이념”이라고 답했다.

그는 국민을 배불리 먹이기 위해서는 권위적 통치가 불가피하다는 정치관을 가졌다.

“여론이나 지지율 등락에 관심을 갖는 것은 지도자의 일이 아니다. 국민이 원하는 것은 신문기사가 아니라 집 의료 직장과 교육”이라면서 ‘언론 자유’를 경시하는 태도도 가감 없이 드러내곤 했다. 또 “국민이 사랑하는 지도자가 될지, 두려워하는 지도자가 될지 사이에서 나는 늘 마키아벨리가 옳다고 믿는다”면서 마키아벨리즘 신봉자라는 것도 숨기지 않았다. 자신을 괴롭히는 정적(政敵)들에 대해서도 “말썽꾼들을 정치적으로 파괴하는 게 나의 일이다. 내 가방 안에는 매우 날카로운 손도끼가 있다. 만약 말썽꾼과 겨루게 된다면 손도끼를 사용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리 전 총리는 “질서를 넘어선 자유는 용납되지 않는다”며 태형(笞刑)을 도입하는 등 강력한 법률로 나라를 다스렸다. 국민이 거리에 침을 뱉고 담배꽁초를 버리는 일까지 간섭해 ‘유모 국가’라는 비난을 사기도 했다.

자신을 향해 독재라는 비난이 일자 “아시아가 서구를 따라잡으려면 강한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아시아적 가치’를 주장해 당시 아시아에 만연했던 독재를 옹호하는 논리를 편다는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하지만 경제개발 과정에서 무력을 동원하거나 착취, 인권 침해 논란을 초래하지 않았고 측근도 봐주는 법이 없는 청렴함을 보여 ‘온건한 독재자’로 불렸다. 1995년 부동산 가격의 급등으로 자신의 일가에 대한 투기 의혹이 일자 조사를 자청했고, 무혐의 결론이 난 뒤에는 차익을 모두 기부하기도 했다.

최창봉 기자 ceric@donga.com
#리콴유#싱가포르#타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