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크스바겐 ‘배출가스 조작’ 파문]
정부 “다른 수입디젤車도 조사”… 폴크스바겐 CEO 사임
《 미국에서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조작해 리콜 명령을 받은 ‘폴크스바겐 사태’가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환경부는 23일 폴크스바겐 외 다른 수입 브랜드 경유차도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도 문제 차량의 연료소비효율 재검증에 나섰다. 영국에서는 문제의 ‘EA 189’ 엔진이 슈코다, 세아트 등 폴크스바겐 그룹 내 다른 브랜드 차량에도 장착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등 글로벌 이슈가 되고 있다. 》
정부가 미국에서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조작한 폴크스바겐과 아우디 차량에 대해 전방위적 조사에 나섰다. 해외에서는 폴크스바겐그룹 내 다른 브랜드 차량에도 배출가스 조작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폴크스바겐 스캔들’이 확산되고 있다.
마르틴 빈터코른 폴크스바겐 최고경영자(CEO)는 23일(현지 시간)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임한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23일 미국에서 리콜 명령을 받은 차량 중 국내 인증을 받은 폴크스바겐 ‘골프’와 ‘제타’ ‘비틀’, 아우디 ‘A3’ 등 4종에 대한 배출가스 저감장치 조작 여부 조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결과에 따라 리콜 명령, 인증 취소, 과징금 부과 등 제재가 내려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조사 대상을 다른 수입 디젤차로 확대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도 이날 아우디 ‘A3’와 ‘A7’에 대해 연료소비효율(연비) 재검증을 조만간 진행하기로 했다. 두 차종은 올해 국토부 연비 검증을 통과했으나 소비자들의 염려를 불식하려는 차원에서다.
○ 전 세계로 번지는 ‘폴크스바겐 파문’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는 22일(현지 시간) 배출가스 조작 차량에 장착된 ‘EA 189’ 엔진이 슈코다, 세아트 등 다른 브랜드 모델에도 장착됐다고 보도했다.
미국 외에 한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위스, 스페인, 스웨덴, 체코, 네덜란드 등도 수사 방침을 발표한 가운데 미국은 포르셰 ‘카이엔’과 아우디 ‘Q6’ ‘A7’ 등 그룹 내 다른 차량으로 조사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프랑스와 영국 정부는 유럽연합(EU) 차원의 조사를 요구하고 나섰다. 미국과 독일에선 폴크스바겐을 대상으로 한 집단소송도 진행 중이다. 폴크스바겐은 문제가 된 1100만 대에 대한 충당금을 3분기(7∼9월) 65억 유로(약 8조6000억 원) 적립했다.
22일(현지 시간) 독일 증시에서 폴크스바겐 주가는 전날보다 19.82% 급락한 106유로에 마감했다. 전날에도 18.60% 폭락했다. 이틀간 시가총액 250억 유로(약 33조1200억 원)가 사라졌다. 다임러(―7.16%), BMW(―6.22%), 르노(―7.12%), 푸조(―8.79%) 등 경유차를 주로 생산하는 유럽 자동차업체들의 주가도 함께 빠졌다. ○ ‘안전’보다 ‘신뢰’의 문제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끈다고 해서 안전에 문제가 생기지는 않는다. 오히려 소비자 입장에선 출력과 연비가 상승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스캔들이 전 세계에 파장을 일으킨 것은 ‘기술의 독일 차’라던 소비자의 신뢰에 금이 갔기 때문이다. 지난해 빈터코른 CEO가 “2018년까지 친환경차 연구개발에 100억 유로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취지가 무색해졌다.
앞서 도요타와 제너럴모터스(GM)도 대규모 리콜 과정에서 신뢰를 잃고 위기에 봉착했다. 2009년 렉서스 ‘ES’ 급발진으로 사망 사고가 발생하자 도요타는 소비자의 잘못된 운전, 협력업체의 품질 관리에 책임을 돌렸다. 결국 도요타는 1000만 대 리콜을 실시했고, 미국 점유율은 2009년 12월 18.3%에서 2010년 2월 12.9%로 내려앉았다.
GM은 점화 스위치 불량으로 운행 중 엔진 시동이 꺼지는 결함을 2001년 발견했으면서도 은폐해 지난해 리콜 비용으로만 13억 달러를 지불했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폴크스바겐 등 유럽 브랜드들이 디젤엔진 기술을 주도해온 가운데 50만 대 규모의 리콜 사태가 터진 것은 유럽 디젤차 전체에 대한 신뢰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진단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