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현지시간) 유로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쿠바 정부는 2주 전부터 수도 아바나의 2000가구에 인터넷 무료 서비스를 실시 중이다.
쿠바 국민 1120만 명 대부분은 Wi-Fi(와이파이)가 설치된 곳에서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만약 별도의 인터넷을 사용하고 싶다면, 시간당 1달러 50센트의 비용을 부담해야한다. 쿠바에서 주민들의 월 평균 임금이 약 30달러(한화3만6000원)인 것을 감안하면, 가정 내 인터넷 사용은 쿠바인들에게 사치나 다름없다.
아울러 정부의 허가도 필요하기에 전체 국민의 약 5%정도만 가정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주로 학자·의사 등 지식인들이 쓰고 있다.
지난 9월 쿠바 정부는 인터넷 보급률을 높일 방안을 발표했다. ‘아바나 파일럿 프로젝트’외에 237곳의 Wi-Fi(와이파이)핫스팟을 아바나 말레콘 해변의 가로수 길에 설치하겠다는 내용이 골자였다.
파일럿 프로젝트 대상자로 선정된 아바나 주민 마가리타 마르케스 씨는 “올해 크리스마스 특별 선물을 받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사업 대상자인 마르티네즈 씨는 "(집안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은)꿈이 실현된 것과 같다. (인터넷을 통해)바깥 세상과 소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마르티네즈 씨의 여동생인 레오노르 프랑코 씨는 자신이 프로젝트 대상자가 된 소식에 놀랐다고 전했다.
레오노르 씨는 2년 동안 노트북으로 인터넷 접속을 하지 못했지만, 지금은 유튜브(YouTube)에서 좋아하는 가수의 비디오를 검색할 수 있다. 레오노르 씨는 “정부가 무료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동안 웹 서핑 방법을 배우길 원한다”며 “3월부터는 돈을 지불해야하고 앞으로 인터넷을 계속 이용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적어도 1월과 2월에는 웹 서핑을 즐길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쿠바의 인터넷 사용료는 최근 몇 년 동안 낮아졌지만 여전히 인터넷 사용은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기 때문. 당국은 인터넷 보급률이 낮은 이유로 미국의 금수조치 인한 고비용을 들었다. 네트워크 인프라를 개발하는 것이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일부에선 정부가 인터넷 사용이 늘면 주민 통제력을 잃을까봐 두려워해 일부러 늦추고 있다고 지적한다. 김은향 동아닷컴 수습기자 eunhyang@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