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양국이 19일 워싱턴에서 열린 포괄적 경제대화에서 날카로운 신경전을 벌이다가 별다른 소득 없이 헤어졌다. 예정됐던 기자회견이 취소됐고, 공동성명도 나오지 않았다. ‘미국 우선주의’를 내건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열린 대화가 이견만 확인한 채 끝나면서 양국 간 무역전쟁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로스 장관은 이날 오전 개회사를 통해 “무역 불균형과 시장 접근의 불평등이 근본적으로 해결돼야 한다”고 포문을 열었다. 미국의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은 “미국 기업이 중국 시장에 더 많이 접근하고 ‘평평한 운동장’에서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중국 측을 압박했다. 이에 왕 부총리는 “대화와 협상이 양측에 생산적인 옵션이며 대결은 양측에 즉각적인 피해를 줄 것”이라고 맞섰다.
미국 측은 이날 중국 금융시장에 대한 접근, 중국 철강의 과잉 생산 축소, 자동차 시장 관세 인하, 국영기업에 대한 보조금 축소, 데이터 현지화에 대한 요구 철회, 외국 기업 소유 지분 제한 철폐 등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은 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대부분의 영역에서 의견 일치를 보지 못했다”며 “미국의 대중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한 조치를 합의하는 데 실패했다”고 전했다.
중국 측은 가을 19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 대회)를 앞두고 협정을 체결할 의지가 없었으며, 미국 측은 대중 무역제재를 정당화하기 위해 실패를 방관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무역 전문 매체인 인사이드트레이드닷컴이 분석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