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군함도 정보센터 도쿄 설치” 유네스코에 통보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2월 4일 03시 00분


“메이지 산업유산 종합적 설명”… 강제징용 실상 감추려는 의도

일본 정부가 2015년 7월 하시마(端島·별칭 군함도)섬을 포함한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당시 약속했던 정보센터 설치 계획을 1일 유네스코에 보고했다고 아사히신문 등이 2일 전했다. 일본 정부는 한국 측의 등재 반대를 무마하기 위해 “강제노역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정보센터 설치 등의 조치를 취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아직 이행하지 않고 있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2019년까지 도쿄(東京)에 종합정보센터를 만들겠다고 유네스코에 보고했다. 하지만 군함도가 있는 규슈(九州) 나가사키(長崎)현에서 1000km가량 떨어진 도쿄에 정보센터를 설치하는 것은 ‘세계유산을 찾은 관광객에게 제대로 된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는 유네스코 권고 취지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메이지 산업유산 23개 중 16개가 규슈에 있기 때문이다. 세계유산을 보러 규슈를 방문한 관광객들이 다시 도쿄의 정보센터를 들르지 않는 한 관련 정보를 접하기 어려운 구조다. 이런 점을 고려해 담당 부처인 문부과학성도 ‘규슈 설치’를 우선적으로 검토했으나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관저에서 도쿄로 밀어붙였다고 한다.

전시 내용을 두고도 논란이 일고 있다. 일제강점기 군함도 해저탄광에는 강제 동원된 조선인들이 열악한 여건에서 일하며 고초를 겪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이런 사실을 부각시키지 않고 메이지 산업유산 전체에 대한 종합적인 설명을 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강제 징용 자체도 ‘전시에 불가피하게 이뤄진 일’이라고 설명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아사히신문은 “한반도 출신 노동자가 군함도 등 일부 유산에서 일했다는 점을 포함해 전쟁 전과 후의 상황을 조사해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교도통신은 “노동자의 임금 기록 등 1차 자료와 옛 주민의 증언 등 공개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런데 군함도 옛 주민들은 최근 ‘군함도의 진실’이라는 홈페이지를 만들어 영어 일본어 한국어로 ‘조선인 차별은 없었다’ ‘일본인도 조선인과 똑같이 일했다’ ‘인간미가 있는 섬이었다’는 등의 주장을 펴고 있다. 이런 증언 위주로 공개될 경우 강제동원 실상을 왜곡했다는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도쿄=장원재 특파원 peacechaos@donga.com
#유네스코#군함도#정보센터#도쿄#메이지#산업유산#강제징용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