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김정은이 앞서 열린 두 차례 남북 정상회담에서 판문점 선언과 문재인 대통령을 통해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간접적으로는 밝힌 만큼 북-미가 어떤 식으로든 절충점을 찾을 것이라는 관측이 아직은 더 많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완전하고 영구적인 핵 폐기(CPD)’ 등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 것 역시 북-미 간 합의 가능한 접점을 모색하려는 움직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외교 소식통은 “구체적인 방법이 규정돼 있는 CVID와 달리 CPD 등은 협상의 여지가 있는 개념”이라며 “합의문의 국문과 영문 표현을 놓고 막판까지 줄다리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문병기 기자 weappon@donga.com
댓글 6
추천 많은 댓글
2018-06-07 03:49:29
<합리적인 상상> 싱가폴 회담기간 중에 북에 이변이 생기면 한국 대통령 전용기에서 김 정은이 내리는 장면이 보일 수가 있다. 혹시 이 일을 위하여 불청객 문 재인이 싱가폴에 가겠다고 치근대는 것 같다.
2018-06-07 09:35:31
이쯤에서 미국은 회담을 취소하고 플랜 B로 변경하여야 합니다
2018-06-07 07:22:07
북한이 CVID를 꺼리는 이유는 비핵화를 안하겠다는 얘기 아닌가? 완전한 핵페기가 아니라 군비축소 ,즉 핵을 몇개만 줄이겟다는 얘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