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이 미국의 자동차 관세 인상 검토에 대응해 미국 워싱턴에서 초당적인 외교활동을 벌였다. 19~21일 미국 워싱턴을 방문한 여야 5당 원내대표단은 미 상무부가 관세를 최대 25%까지 부과할 수 있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한국산 자동차에 적용하지 않도록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미 의회의 핵심 관계자들을 만나 전방위로 설득 작업을 벌였다.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9일 특파원 간담회에서 “논의 내용을 모두 공개할 수 없지만 무역확장법과 관련해 큰 성과가 있었다”며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우리 측 의견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냈다”고 평가했다. 특히 윌버 로스 상무장관은 예정보다 30분 넘게 진행된 면담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에서 미국의 자동차 관련 요구가 상당부분 반영됐기 때문에 232조를 또 적용할 경우 동맹인 한국에 이중 부담을 지우는 것”이라는 원내대표들의 의견에 “공감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스티브 멀 국무부 정무차관 대행도 원내대표단 면담에서 같은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대표단은 강조했다.
특히 원내대표들은 미 상무부가 8월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출할 예정인 최종 보고서에 한국산 자동차에 대해서는 232조 적용을 예외로 해달라고 건의해 달라고 로스 장관에게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원내대표단은 19일에는 미국 3대 자동차업계를 대표하는 협회인 미국자동차무역정책위원회(AAPC) 임원들과도 면담해 232조 적용의 부당성을 강조했다. 21일에도 제프 게리쉬 미상공회의소 부대표와도 만나 자동차 관세 부과와 관련한 우리측 입장을 전달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