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민 77%가 북한이 비핵화 약속을 이행할 경우 상응조치로 미국이 북한과 수교해야 한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싱크탱크 시카고국제문제협의회(CCGA)는 1일(현지시간) 홈페이지(https://www.thechicagocouncil.org)에 공개한 미국의 대북정책 관련 여론조사 보고서에서, 미국인 77%가 북한 비핵화시 미국이 취할 상응조치로 수교를 꼽았다고 밝혔다. 54%는 북한에 대한 경제지원을 꼽았다. 44%는 미국과 한국 군의 합동군사훈련 중단을 지적했고, 주한미군 철수를 상응조치로 꼽은 응답은 18%에 불과했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미국 국민들이 북한 비핵화 시에도 한국 방어를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특히 ‘북한이 남한을 공격할 시 미군이 군사력을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하나’란 질문항목에 대해 64%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는 전년 대비 2%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지지정당 성향별로 보면, 공화당 지지자는 70%,민주당 지지자 63%, 무당파 61%가 ‘그렇다’고 답했다. 정당과 무관하게 비교적 고르게 ‘그렇다’는 답변을 한 것.
‘북한이 태평양의 미군기지를 공격할 시 군사력을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하나’란 질문에 84%, ‘일본 공격시’에는 64%가 군사력 사용을 지지했다.
‘북한 핵시설 파괴시 승인이 필요한 대상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란 질문에 ‘의회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응답이 63%를 기록했다. ‘한국 승인’은 42%, ‘동맹국 승인’은 43%, ‘유엔 안보리 승인’ 41%, ‘중국 승인’은 22% 였다.
북한이 비핵화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대응 방안으로는 77%가 경제제재강화, 37%가 핵시설 공습을 꼽았다. 정권 전복을 위한 미군 투입 응답은 25%였다. 북한이 추가로 핵무기를 생산하지 않는다는 것을 조건으로 핵보유를 인정해준다는 답은 29%였다.
한편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도 불구하고 응답자의 91%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이중 67%는 ‘아주 싫다’고 답했다. ‘좋다’는 답은 6%에 불과했다.
반면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서는 67%가 긍정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이는 전년 54%에서 13%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북한을 미국의 중대 위협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59%가 그렇다고 답해, 전년 대비 16%포인트 하락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 7월 12일부터 31일까지 미국인 2046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오차범위는 ±2.37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