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국제
아들 부시, 아버지 부시 장례식서 웃기도 한 까닭은?
뉴시스
업데이트
2018-12-06 09:26
2018년 12월 6일 09시 26분
입력
2018-12-06 06:56
2018년 12월 6일 06시 56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아버지 조지 H. W. 부시 전 대통령의 장례식에서 추도사를 하며 목메어 눈물을 흘렸다.
그러나 장례식이 진행되는 동안 웃기도 했다. 아들 부시 전 대통령뿐 아니라 다른 참석자들도 웃었다.
한국적 관습상 장례식에서 웃는다는 것을 이해하기 어렵지만 미국의 장례식에서는 웃음이 나오는 게 다반사이다. 고인에 대한 추도사를 하는 참석자들이 고인에 얽힌 재미있는 일화 한 토막씩 소개하기 때문이다.
워싱턴 국립대성당에서 거행된 조지 H. W. 부시 전 대통령 장례식에서도 그랬다.
AP통신도 이날 고인에 대한 경건한 추모가 이어지는 가운데 성당은 자주 웃음으로 가득 찼다고 보도했다.
가장 먼저 추도사를 한 역사학자 존 미첨은 “고인은 위험했던 시기에 ‘우리의 방패’였으며 위대한 군 경력을 가진 마지막 정치인이었다”고 칭송했다. 미첨은 부시 자서전을 집필한 인물이다.
그러면서 미첨은 재미있는 일화를 소개했다. 그는 “고인은 선거유세 때 한 백화점에서 많은 사람들과 악수를 나누다 마네킹과도 악수했다”고 전했다. 이때 성당 안에서는 웃음이 터져나왔다.
미첨은 당시 고인은 얼굴을 붉히며 어색해하지 않고, “(누가 누군지) 어떻게 다 알겠어. 물어봐야지”라고 말하며 그 상황을 유머감각을 동원해 넘겼다고 말했다.
미첨은 고인이 브로콜리를 싫어해 먹지 않았다는 얘기도 했다.
두번째로 추도사를 한 브라이언 멀로니 전 캐나다 총리는 부시 대통령에 대해 “냉전 종식과 소비에트 연방 붕괴에 기여하고 캐나다 및 멕시코와의 북미자유무역협정(나프타·NAFTA)의 초석을 놓은 지도자였다”고 찬사를 보냈다.
그는 나프타를 잘못된 협정이라고 거세게 비판하며 캐나다 및 멕시코와 새로운 협정을 맺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맨 앞줄에 앉아 있는 가운데 “나프타는 세계 역사에서 가장 크고, 풍부한 자유무역 지역이었다”고 호평했다.
세번째로 추도사를 한 앨런 심슨 전 공화당 상원의원은 정치적 친구였던 고인이 농담을 좋아했던 것을 되새기면서 농담은 많으면 많을수록 더 좋았다고 말했다.
심슨 전 의원은 “고인은 고개를 뒤로 젖혀 실컷 웃고 난 뒤 자신을 웃게 했던 핵심포인트를 늘 기억하지 못했다”며 엉뚱한 재미를 주었던 고인을 회고했다. 이때도 성당에서는 웃음이 터져나왔다.
【로스앤젤레스=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지금 뜨는 뉴스
헌재 “기일변경 신청 결론 못내… 20일에 尹 안나와도 진행 가능”
14차례 신고하고도 동거남 폭행에 숨진 여성…‘직무태만’ 경찰관 결국
경로우대 카드 쓰려다 걸린 30대, 역무원 얼굴에 지폐 던지고 폭행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