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6일 오후 일본 도쿄 미나토(港)구 아카사카(赤坂)에 ‘분신 로봇 카페 돈(DAWN)’이라는 이름의 이색 카페가 문을 열었다. 개장 첫날 찾아간 이 카페는 얼핏 보면 여느 카페와 다를 게 없다. 30석 규모의 카페 안을 둘러봤다. 평범한 순간도 잠시. 기자가 앉은 테이블로 흰색 로봇 한 대가 다가왔다. 로봇은 메뉴판이 얹어진 쟁반을 왼팔로 들고 있었다. 높이 120cm로 눈에서 파란빛을 내는 로봇이 먼저 말을 걸어왔다.
“안녕하세요.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문 받겠습니다.”
기자가 “따뜻한 아메리카노를 마시고 싶다”고 하자 로봇은 “알겠습니다. 오늘 첫 손님이시네요. 잘 부탁드립니다”라며 주문을 받아갔다. 몇 분 후 쟁반에 커피를 담아 온 로봇은 자신을 미에(三重)현에 사는 야나기다 고키라고 소개했다. “한국에서 왔다”는 기자의 말에 로봇은 일본어투가 묻어나는 한국어로 “감사합니다”라고 인사했다.
○ 사지마비 장애인이 응대하는 카페
이날 기자를 포함한 손님들을 응대한 종업원은 분신 로봇 ‘오리히메-D’였다. 하지만 더 정확하게 말하면 카페에서 직선거리로 약 283km 떨어진 미에현 가와고에(川越)정에서 이 로봇을 원격조종한 야나기다 고키 씨(45)였다.
야나기다 씨는 사람들과 이야기 나누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었다. 그러나 수영장에서 떨어져 목뼈가 부러지는 불의의 사고를 당했다. 목 아래 신체를 움직일 수 없는 사지마비 장애인이 된 뒤 그의 인생은 절망으로 바뀌었다. 간병인 등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일상생활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그러던 중 올해 온라인에서 분신 로봇 오리히메-D의 파일럿(조종사) 모집 공고를 봤다. ‘로봇을 통해 일을 할 수 있다’는 문구에 작은 희망을 품게 됐다. 몸을 가누지 못하는 야나기다 씨가 로봇을 조종할 수 있는 비결은 아이트래킹(시선 추적) 기술 덕분이다. 눈의 움직임으로 화면 속 자판을 움직여 메뉴를 선택한다. 시선만으로 전진 후진 멈춤 등 로봇의 기본 동작을 조종할 수 있다.
도쿄 아카사카의 카페 로봇은 야나기다 씨의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연결돼 있다. 그는 로봇의 머리에 달려 있는 소형 캠을 통해 카페 안 상황을 집에 있는 모니터로 파악한다. 컴퓨터에 달린 소형 마이크에 대고 야나기다 씨가 말을 하면 로봇에 내장된 스피커로 목소리가 전달되는 방식이다. 말을 하기 어려운 장애인은 아이트래킹으로 단어를 입력하면 기계음으로 바뀌어 전달된다.
야나기다 씨는 “로봇 조작은 간단했지만 손님 응대가 쉽지 않아 처음에 당황스러웠다”며 “그러나 손님들이 ‘고맙습니다’ ‘응원할게요’라며 웃는 얼굴로 돌아갈 때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는 “나 같은 중증 장애인도 일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줘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바꾸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내년 9월 일본에서 열리는 럭비월드컵에 분신 로봇을 통해 통역 봉사를 할 계획이다.
○ ‘제약’을 IT로 극복해 노동력 만드는 日
분신 로봇 카페는 일본재단과 로봇 개발사 ‘오리연구소’, 일본 항공사 ‘ANA홀딩스’의 합작 프로젝트다. 거동이 불편해 그동안 취업전선에 뛰어들 수 없었던 장애인들의 노동력을 끌어내는 것이 핵심이다. 오리연구소가 만든 오리히메-D가 야나기다 씨의 ‘아바타’가 돼 일을 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프로젝트는 ‘장애’ 개념의 재정립부터 시작됐다. 프로젝트 참가자들은 단순히 몸이 불편한 것뿐 아니라 거리나 시간의 제약으로 하고 싶은 것을 하지 못하는 것도 장애라고 여겼다. 요시후지 겐타로(吉藤健太朗) 오리연구소 대표이사는 “로봇을 통해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을 만들고 싶었다”며 “이런 생각을 많은 사람과 공감할 수 있다면 장애인들도 사회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카페 서빙 외에 동물원이나 수족관 관리직 등 다른 분야 업무에도 로봇이 활용되기 시작했다. 실제 이날 카페 옆에서 한 장애인이 규슈 오이타(大分)현 자연동물공원에 있는 동물들을 관리하는 모습을 선보였다. 이 장애인은 공원 내에 배치된 로봇을 통해 현장 사육사들과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
카페에 들른 손님들도 분신 로봇을 작동하는 장애인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즐거워했다. 한 손님은 로봇의 손을 잡고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직장인 다나카 쇼 씨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단순한 로봇인 줄 알았는데 사람과 사람이 연결된 로봇이라는 점이 무척 새로웠다”고 말했다. 그러나 로봇의 움직임이 다소 느리고, 신체 각 부위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등 한계도 지적됐다. 아카사카 카페는 이달 7일까지 임시 영업을 했고 지적 사항을 보완해 2020년 도쿄 올림픽 개막 즈음에 정식으로 다시 문을 열 예정이다.
○ 일손 부족 해결… 인간 행동 패턴 분석하는 정찰 로봇까지
저출산 초고령사회인 일본의 일손 부족은 이미 심각한 수준이다.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올해 9월 구직자 1명당 일자리 수를 뜻하는 ‘유효구인배율(구직자 수로 구인자 수를 나눈 수)’은 1.64로 44년 8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인재 관련 조사 기관인 퍼솔종합연구소는 2030년경 일손 부족 현상이 현재보다 5배나 심각해질 것이라고 발표했다. 5년간 외국인 노동자 34만 명을 받아들이고 정년을 70세까지 끌어올리는 등 국가 차원의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 다양한 업무 현장에 로봇이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경제산업성 산하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는 일본 내 로봇 시장이 2035년까지 9조7000억 엔(약 97조1765억 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소프트뱅크의 ‘페퍼’ 등 AI 로봇의 개발이 진행되면서 백화점 호텔 등 서비스 분야에 빠르게 도입되고 있다.
최근에는 지하철역 등 사람이 많이 몰리는 지역에서 수상한 사람이나 몸이 아픈 사람 등을 발견하는 정찰 업무까지 담당하고 있다. 지난달 27일 오전 도쿄 신주쿠(新宿)구의 세이부신주쿠역에서는 AI 정찰 로봇 ‘페르세우스봇’이 역내를 이동하며 순찰을 했다. “순회 경비 중”이라고 안내하며 움직이는 도중 역 관계자가 몸을 웅크리고 주저앉는 시범을 보이자 20초 만에 경보를 울리며 역 안내소 직원을 호출했다. 이날 행사는 페르세우스봇의 첫 시연회였다.
철도회사 ‘세이부철도’와 AI 카메라 개발회사 ‘어스아이’, 컴퓨터 시스템 개발회사 ‘유니시스’가 함께 만든 이 로봇은 목에 달린 카메라로 현장을 감시한다.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 중 웅크림, 쓰러짐 등 인간의 기본 행동들을 학습해 스스로 판단한다. 20초 정도 같은 행동을 취하면 ‘이상 행동’으로 간주하고 경보를 울리는 방식이다. 특정 물건이 같은 위치에 1분 이상 놓여 있으면 위험물로 간주하고 경보를 울린다. 요코타 게이(橫田啓) 세이부철도 정보시스템 과장은 “관광객 증가 등으로 기존 역무원 인력만으로 구석구석 점검하기 어렵다”며 “노동 인구도 감소하는 상황에서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