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국제
“빨대·비닐봉투 안돼요”…‘쓰레기 몸살’ 발리섬, 플라스틱 사용 금지령
뉴스1
업데이트
2018-12-27 15:16
2018년 12월 27일 15시 16분
입력
2018-12-27 15:13
2018년 12월 27일 15시 13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발리 주지사 “1년내 플라스틱 쓰레기 70% 감축”
사업장 면허 갱신 불허 등 강력한 조치 예고
밀려드는 플라스틱 쓰레기에 몸살을 앓는 인도네시아 최대 휴양지 발리섬이 플라스틱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다.
26일(현지시간) 현지 트리뷴뉴스 등에 따르면 와얀 코스테르 발리 주지사는 지난 21일 비닐봉투와 스티로폼, 플라스틱 빨대 등 3가지 제품의 사용을 금지한다는 규제안에 서명했다.
코스테르 주지사는 24일 플라스틱 금지령을 발표하고 “이번 조치로 발리의 해양 플라스틱 폐기물이 1년 안에 70% 이상 줄어들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새 정책은 6개월간의 유예 기간을 거친 뒤 시행되며, 규제 위반시 당국의 제재를 받게된다.
구체적인 벌금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코스테르 주지사는 사업장 면허 갱신 불허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그는 “생산자와 유통자, 공급자 등 사업 주체들은 일회용 플라스틱을 다른 물질로 대체해야 한다”며 “정부의 조치를 따르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행정적 제재가 가해질 것”이라고 했다.
플라스틱 쓰레기는 발리섬에서 해변과 스노클링, 다이빙 장소 등 주변 수역을 오염시키는 주요 문제로 부상했다. 전문가들은 발리섬 주변 해역 플라스틱 쓰레기의 80%가 발리섬에서 왔다고 추정하고 있다.
쓰레기 처리업자들이 비용 절감을 위해 호텔과 마을에서 버린 쓰레기를 강에 무단으로 투기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대부분은 발리섬 주변 해역으로 유입된다고 트리뷴뉴스는 전했다.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도 일회용 비닐봉투를 금지하는 도지사 규정을 마련했다.
이스나와 아드지 자카르타 환경청장은 “일회용 플라스틱 감축 정책에 따라 식당에서 빨대 사용을 금지하겠다”며 “식당 외 시설도 정책에 따라야 한다”고 했다.
이어 “자카르타 주민 10명 중 9명이 비닐봉투 사용 줄이기 운동에 동의했다”면서 “환경청은 플라스틱 금지령을 제정하기 몇 달 전부터 공청회를 열어 이해관계자와 주민들의 의견을 구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인도네시아 재경부는 내년부터 플라스틱 용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1)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지금 뜨는 뉴스
[단독]부산 반얀트리 1층서 용접, ‘화재 감시자’ 미배치 의혹
한동훈 정치 재개 예고… 與 주자들 주도권 경쟁 본격화
화성 가려고 그린란드 산다?…머스크-트럼프의 ‘꿈’[트럼피디아]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