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美회담, ‘비행거리내’ 아시아권 유력… 베트남-몽골 등 부상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1월 8일 03시 00분


트럼프 “北과 협상… 머지않아 발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 시간) 북한과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 장소를 협상 중이라고 발언하면서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주요 후보군으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현재로선 북한과 우호적인 관계를 지닌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몽골 등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베트남의 경우 과거 미국과 전쟁을 치렀지만 현재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북한 경제의 롤 모델이라는 상징성도 있어 후보지의 하나로 급부상하고 있다.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지난해 11월 말, 마크 램버트 미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 대행이 지난달 초순에 베트남을 방문했던 점도 예사롭지 않다.

그간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자 역할을 희망하면서 회담 개최지 제공 의지를 드러낸 몽골도 빼놓을 수 없다. 몽골은 북한과 지리적 거리가 가까울 뿐 아니라 기차·차량 등 육로로도 이동이 가능하다. 제3세계 비동맹 국가의 수장 역할을 해온 인도네시아도 후보군으로 오르내린다. 인도네시아 역시 1차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당시에도 회담 장소를 제공하겠다고 했다.

이 밖에도 남북한 간 비무장지대(DMZ)와 미국 하와이 등이 후보지로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인도네시아는 싱가포르보다 멀고 말레이시아는 김정남 암살 사건으로 평판이 안 좋아졌다”며 “미국과도 관계가 개선됐고 북한과도 가까운 베트남이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CNN방송은 3일 트럼프 행정부가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 후보지를 찾기 위해 지난해 말부터 아시아 등 복수의 장소에 사전답사 팀을 파견했다고 보도했다. CNN에 따르면 백악관은 당초 스위스를 염두에 두고 북한과 접촉했지만 북한 측의 이동과 수송 문제로 후보지에서 탈락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전용기 참매-1호(IL-62M)의 안정적 운항 거리(약 7000km) 안에 포함되는 곳이 개최지로 유력하다고 추정할 수 있지만 북한에서 약 8570km 떨어진 스위스는 너무 멀었던 셈이다.

2차 회담이 성사되려면 장소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회담 의제를 얼마나 다듬고 협의할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는 지적이 많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북한과 간접적으로 대화를 해 왔다”며 “우리는 좋은 대화를 나누고 있다”고도 했다. 정상회담과 별개로 대북 제재는 지속할 것이라고 단서를 붙였지만 “우리는 북한과 잘하고 있다. 로켓 발사는 없었다”며 북핵 문제에서의 진전을 강조했다.

이를 두고 정상회담 전 실무 및 고위급 회담 개최를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는 미국이 톱다운 방식을 선호하는 북한에 양보하는 듯한 모양새를 취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없지 않다.

문제는 실무회담이 부실한 상태에서 정상회담이 열린다면 ‘완전한 비핵화’를 향한 큰 진전이 어렵다는 점이다. 이미 지난해 1차 북-미 정상회담에서도 이와 유사한 경험을 한 적이 있다. 신 센터장은 “고위급 회담이 계속 지연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개최해 북-미 교착 상태를 풀어 보겠다는 생각을 가졌을 가능성이 있다”며 “고위급을 건너뛰고 정상회담이 열리면 비핵화가 아닌 핵 동결 협상으로 방향이 잡힐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지난해 12월 21일부터 연방정부 일시 업무정지(셧다운) 상태라는 점을 들어 장소 확정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관측한다. 북-미 정상회담의 미국 측 총책임자인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8∼15일엔 시리아 철군 문제로 중동 및 아프리카 순방에 나선다.

구가인 comedy9@donga.com·한기재 기자
#북미회담#장소#아시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