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전직 관리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해 정부의 조치와 일치하지 않는 대북 정책을 트위터 등에 공개해 불필요한 혼란을 야기한다고 지적했다.
27일(현지시간)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전직 관리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대 압박 등 대북 정책을 명확하게 규정하지 않을 경우 국제사회에서 북핵 문제 해결 주도권이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게리 세이모어 전 백악관 대량살상무기(WMD) 조정관은 트럼프 행정부 내 대북 정책을 둘러싼 이견이 커 보인다고 밝혔다.
세이모어 전 조정관은 전날 인터뷰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에 정확히 무엇을 제안한 것인지 우리도 헛갈린다”고 진단했다.
세이모어 전 조정관은 많은 부분이 불분명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대북 제재 철회’ 지시와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의 ‘가역적 제재’ 언급이 그 예라고 꼬집었다.
앞서 최 부상은 지난 15일 트럼프 대통령이 하노이 정상회담 당시 “제재를 해제했다가 북한이 핵 활동을 재개하면 가역적으로 제재를 재개할 수 있는 이른바 ‘스냅백 조항’을 넣자”고 제안했다고 주장했다.
민타로 오바 전 국무부 한국·일본 담당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트윗이나 최 부상의 발언 등을 놓고 볼 때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참모들이 대북 정책에 관해서는 의견 일치가 안 되어 보인다고 분석했다.
오바 전 담당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최대 압박에 전력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외교에 ‘투자’하면서 진전을 보길 원한다. 반면, 그의 보좌관들은 최대 압박이야말로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이끈 매우 중요한 요소로 본다.
오바 전 담당관은 행정부 내에 대북 정책과 관련한 분명한 방향과 각 부처 간 조율이 부족한 데 대한 불만이 깔려 있다고 지적했다.
세이모어 전 조정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것을 공식 트윗을 통해 밝히고 있다는 점이 문제라고 비판했다.
세이모어 전 조정관에 따르면 ‘추가 대북 제재 철회’의 경우 원래는 대통령이 제재 부과를 원하지 않는다는 뜻을 재무부에 밝히면 이를 은밀히 북한에 전달하는 것이 통상적인 절차다.
세이모어 전 조정관은 미국 사회가 트럼프 행정부의 이처럼 보기 드문 방식에 점점 익숙해져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로버트 갈루치 전 국무부 북핵 특사는 대통령과 행정부가 서로 다른 행동을 보일 경우 북한 문제를 주도하고 있는 미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신뢰가 손상을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데니스 와일더 전 백악관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개인적 의견을 매우 강하게 표출해 국제사회를 혼란스럽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와일더 전 선임보좌관은 혼란을 피하려면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 제재 정책에 대해 훨씬 더 분명한 설명을 제공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와일더 전 선임보좌관은 다만 정부 내에서 다른 의견이 나오는 게 특이한 일은 아니라고 밝혔다. 부시 행정부와 오바마 행정부에서도 같은 일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