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관련 핵심소재에 대한 일본 정부의 대(對)한국 수출규제 강화 조치가 결국 “부메랑처럼 일본에 되돌아 올 수 있다”는 일본 재계 인사들의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다카스키 노부야(高杉暢也) 전 한국후지제록스 회장은 15일 보도된 교도통신 계열 아시아경제뉴스(NNA)와의 인터뷰에서 자국 정부의 이번 조치를 한국의 강제징용 피해자 손해배상 판결 등에 따른 “징벌적 시책”이라 규정하면서 “(그러나) 경제인으로서 세계 경제나 한일경제협력·발전 등 글로벌한 관점에서 볼 때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가 ‘전략’으로서 유효한 것인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다카스키 전 회장은 특히 일본 정부의 이번 조치로 일본에 대한 국제신용도 하락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일본이 지난달 말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의장국으로서 ‘자유무역의 중요성’을 강조한 직후 이번 조치를 취했다는 이유에서다.
또 그는 Δ세계 반도체 공급망에 대한 타격과 Δ한국을 주고객으로 하는 일본 기업의 손실 발생, 그리고 Δ한국 기업의 소재 국산화 및 수급처 다양화에 따른 일본 기업의 경쟁력 저하도 일본 정부의 이번 조치에 따른 우려사항들로 꼽았다.
다카스키는 회장은 특히 “일본인 중엔 한국이 지난 30년 간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는 점을 깨닫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면서 “한국은 작년에 1인당 국민총소득(GNI) 3만달러를 돌파하면서 일본과의 격차가 크게 좁혀졌다. 대일(對日) 콤플렉스도 일본보다 ‘한 수 아래’였던 때와 비교할 때 크게 달라졌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한국은 가난한 나라’란 선입견에서 벗어나지 못한 일본인이 많다”면서 “이번 조치도 ‘어때, 힘들 걸’이라며 (일본이)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선에서 나온 거라면 (한국의) 반발도 당연하다”고 말했다.
다카스키는 지난 2005년 시작된 ‘한일축제한마당’ 행사가 양국관계 개선에 일조했다고 평가하면서 “양국의 정치·외교가 어려워질수록 시민들 간의 교류 활동 등 민간외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4
추천 많은 댓글
2019-07-16 01:28:04
한국뿐 아니라 다른 나라들도 한국처럼 안 당하려면 일본과의 거래를 재검토하게 될 것이다. 거기에 한국은 일본에서 들어오는 소재, 부품을 급속하게 국산화해버릴 것이다. 그리고는 그걸로 장차 일본의 해외시장까지도 빼앗아 버릴 것이다. 아베, 큰 실수 했다.
2019-07-15 22:42:48
아베 면전에서 트럼프에게 미국은 우리의 동맹이나 일본은 동맹이 아니다라는 초딩수'준의 한심한 소리한 자가 배설물 치워야함이 당연하다
2019-07-17 03:30:32
판사 판결따라 강재징용보상금 받을려는 문죄인이 유뇌인간인가.무뇌인간인가? 대법원장은 지가 임명해놓고, 대법판결은 절대적이라니,아베가 믿겠나? 지한테 유리한 판결은 정상이고,불리한 대법판결은 적폐라니, 아베가 안믿지? 아베가 니말을 수긍하도록 설득해보고,안되면 빌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