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비정부기구(NGO) 연구단체 선진국방연구센터(C4ADS)는 최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벤츠 차량 두 대가 한국과 일본 등 5개 국가를 거쳐 북한으로 밀반입되는 과정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해 주목받았다. 이 센터의 제이슨 아터번 선임연구원(사진)은 19일(현지 시간) 동아일보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차량의 최초 선적 당시부터 중국, 러시아 등의 여러 기업이 북한행을 계획하고 움직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2015∼2017년 북한에 사치품을 수출하는 과정에는 90개 나라가 관여했다. 이번에 경로가 확인된 김 위원장의 마이바흐 S600 차량의 경우 이를 적재한 컨테이너가 네덜란드 로테르담 항구에서 출발해 중국 다롄∼일본 오사카∼한국 부산항∼러시아 나홋카까지 선박으로 옮겨진 뒤 북한으로 들어갔다.
아터번 연구원은 ‘도영이라는 기업이 이 과정에서 연루돼 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문제의 차량을 운송한 선박의 소유 회사로, 앞서 북한산 석탄의 불법 환적에 연루됐던 선박도 소유하고 있다”며 “여러 정황을 고려했을 때 북한으로 들어갈 것을 몰랐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주장했다. 해당 업체는 국내 매체 인터뷰에서 “북한행에 대해 몰랐다”고 밝힌 바 있다. 아터번 연구원은 다만 “개별 기업의 사례가 정부 차원의 개입으로 곧바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며 한국 정부의 연루 가능성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그는 이번 연구에 대해 “지금까지 북한에 밀반입되는 사치품 분석은 인권 혹은 국내 정치적 차원에서 접근했지만 이번 연구는 의미 부여나 평가를 배제한 데이터 중심의 탐사추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사치품 수입 제재에 대해서는 “사치품은 개념 자체가 주관적인 데다 나라마다 분류와 정의가 달라 범위와 대상을 놓고 혼란이 적지 않았다”며 “이를 정확히 파악해볼 필요를 느꼈다”고 말했다.
C4ADS는 이번 보고서를 낸 이후 미국을 비롯해 이름을 밝히기 어려운 여러 나라의 각종 기관에서 연락을 받았다고 한다. 그는 “북한은 데이터가 부족해 분석이 쉽지 않은 국가”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데이터 과학의 관점에서도 매우 흥미로운 분석 대상”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2019-07-23 14:22:15
현 용공 좌파 친북 정부는 분명 김정은의 현재 사용중인 벤츠 신형차 구입 루트중 한국 경유!Do young shipping회사 개입까지 밝혀졌지만,정부 당국은 이에 대해 시인도,부인도 안하는 것은 뭔가?개인 기업 개입된 것은 정부와는 무관이니 문제가 안된다는 것인가?
2019-07-23 16:17:16
역적들의 졸개로 주적개념조차 희석시켜주며 이적행위를 하던 자들이니 할 말이 없어 침묵하는 것으로 개판정치도 제재를 받지 않으니 기고만장하고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