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보복에 대한 대응책이 주로 ‘재고 확보’라는 소극적 방안에 몰려있었다. 당장 일본 수출규제 조치에 영향을 받지 않은 기업도 1년 내에 70%가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영향이 나와 추가적인 피해가 예상된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 절반 가까이(46.5%)는 대응책으로 ‘재고분 확보’를 꼽았다. 대(對) 일본 거래축소 및 대체시장 발굴을 준비하는 기업은 31.3%였으며 기술개발 등 경쟁력 강화에 나선 기업은 15.3%에 그쳤다. 국산화를 진행하고 있다고 답한 기업은 6.9%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당장 일본 경제보복의 영향받지 않은 기업 중 67% 이상은 1년 내에 피해영역 안에 들게 될 전망이다. 중기중앙회는 현재 영향을 받지 않더라도 화이트리스트 제외 조치가 발효되면 3개월 내에 35.3%가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1년 내에는 총 67.3%에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입中企 6할, 대일 의존도 60%↑…불매운동도 경영악화 초래
일본 수입기업들 10곳 중 6곳은 전체 수입액 중 60% 이상을 일본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도 고민거리다. 화이트리스트 제외 조치로 수입길이 막히거나 좁아질 경우 줄도산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본 수입기업 중 60.6%는 지난해 총 수입액 대비 일본 수입액 비중이 60% 이상으로 조사됐다. 수입액의 80~100%를 일본에서 창출하는 기업은 24.3%였으며 60% 이상 80% 미만을 일본에 의존하는 기업도 36.3%에 달해 가장 많았다.
최근 사회 전방위로 번지고 있는 ‘일본산 불매운동’도 국내 수입기업에게는 ‘경영악화’ 요인으로 작용했다. 기업들은 영업활동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사례로 일본제품에 대한 불매운동(24.7%)을 꼽았다. 이어 Δ환율 영향 13% Δ수입 대체품 없음 11.7% Δ매출감소 10.4% Δ납기일 지연 6.5% 등이 뒤를 이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