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7년 비상사태 당시 홍콩의 길거리 모습 - SCMP 갈무리
홍콩을 대표하는 캐리 람 행정장관이 비상사태 선포 가능성을 언급했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8일 보도했다.
람 장관은 27일 내각 회의에서 날로 격화되는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비상사태를 포함한 모든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내각회의에서 람 장관의 이 같은 주장은 반대에 부딪혔다. 2명의 내각 인사가 비상사태 선포에 반대했다고 SCMP는 전했다.
또 전문가들은 람 장관이 비상사태를 선포한다면 홍콩의 상징인 ‘법의 지배’가 깨질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홍콩에서 비상사태는 1967년 선포된 적이 있다. 당시는 좌파세력이 폭동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비상사태 선포는 의회의 동의 없이 행정장관의 직권으로 할 수 있으며, 비상사태가 선포되면 현행법의 체포, 구금, 추방 등을 행정부가 결정할 수 있으며, 모든 항구와 모든 교통수단도 통제할 수 있다. 또 언론에 대한 통제도 가능하다.
특히 비상사태가 선포되면 행정장관은 범법자에게 최고 종신형을 선고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홍콩의 민주인사들은 홍콩의 상징인 ‘법의 지배’가 무너질 수 있다며 일제히 반대하고 있다고 SCMP는 전했다.
(서울=뉴스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