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송환법 시위 이후 첫 투표인 홍콩 구의원 선거가 24일 진행되는 가운데, 밤 12시 현재 69%의 투표율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이날 보도했다.
이는 413만 명의 유권자중 274만 이상이 투표에 참여한 것이다.
이는 지난 2015년 구의원선거 투표율 47%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당시 구의원 선거는 312만 명의 유권자 중 모두 47.1%가 투표에 참여했다.
투표율은 25일 오전 중에 집계가 완료될 예정이어서 투표율이 소폭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이번 구의회 선거는 홍콩섬 4곳, 카오룽반도 5곳, 신계 9곳 등 모두 18개 지역구에서 4년 임기의 구의원 452명을 선출한다.
이날 유권자들은 일반 투표소 610여 곳과 전용 투표소 23곳 에서 투표권을 행사했다. 총 1090명의 후보자에 대해 이날 오전 7시30부터 오후 10시30분까지 투표가 진행됐다.
구의원 선거는 홍콩 행정장관 선출에 큰 영향을 미친다. 452명 구의원 중 절반 이상을 가져간 진영이 117명의 선거인단을 모두 차지하기 때문이다. 홍콩 행정장관 선거는 직접선거가 아니라 1200명가량의 선거인단의 간접선거로 이뤄진다.
이번 투표는 6개월간 이어진 반정부 시위운동과 캐리람 행정장관에 대한 홍콩인들의 지지를 재는 척도로도 간주되고 있다. 이번 구의회 선거에서 범민주파가 압승을 거두면, 차기 행정장관 선거 1년 전인 2021년에 선출될 전체 선거인단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또 친중 진영이 행정장관 선출을 위한 선거인단 과반수(600명)를 채우는 게 어려워질 수 있다.
이번 선거에서는 민주 진영이 승리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앞서 2003년 홍콩 정부가 국가보안법을 강행했다 대규모 시위에 역풍을 맞고 이를 철회했다. 당시에도 구의원 선거에서도 민주 진영이 크게 승리했다.
반면 친중파가 승리를 거두게 된다면 홍콩의 반정부 시위대의 동력은 크게 꺾일 수밖에 없다. 친중 진영은 이번 선거에서 친중파가 승리해 시위의 기세가 크게 꺾일 것을 기대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