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16일 자국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해 “이전까지와는 다른 상황이 됐다”며 사실상 ‘유행’ 단계에 진입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가토 가쓰노부(加藤勝信) 일본 후생노동상은 이날 NHK에 출연, “이젠 ‘감염 확대’를 전제로 한 대책이 필요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일본 정부는 작년 말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에서 발원한 코로나19가 중국 전역을 넘어 아시아·유럽·북미 지역으로까지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자, 지난달 말부터 중국 체류 경험이 있는 외국인의 입국을 제한하는 등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을 막기 위한 방역대책을 추진해왔다.
일본 정부가 지난 3일 요코하마(橫浜)항에 입항한 국제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탑승자들에 대해 ‘선상 격리’ 조치를 취한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지난달 홍콩인 코로나19 환자가 탑승했던 ‘다이아몬드 프린세스’에선 현재까지 350명 이상의 코로나19 감염자가 나왔다.
그러나 지난 13일 가나가와(神奈川)현에서 중국 방문 경험이 없는 80대 여성이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폐렴 등 합병증으로 숨진 사실이 확인된 데 이어, 수도 도쿄도와
홋카이(北海)도·오키나와(沖?)현 등 전국 각지에서 감염경로 파악이 어려운 확진 환자가 잇따라 나오면서 ‘방역망이 뚫렸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 등지를 다녀온 적이 없는 국내 감염자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일본 내에서 코로나19 2차·3차 감염이 이미 만연한 상태일 수 있음을 뜻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전까지와는 다른 상황”이란 가토 후생상의 이날 발언 또한 이 같은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가토 후생상은 ‘현재 코로나19와 관련해 일본이 어떤 상황에 와 있는지’에 대해선 “전문가들의 판단을 받지 않으면 안 된다”며 즉답을 피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오후 전문가 회의를 열어 현재 일본 내 코로나19 확산이 ‘유행’에 해당하는지 여부 등을 판단하고, 감염 의심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의 의료기관 이용 및 검진 기준 등에 관해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가토 후생상은 “(코로나19) 감염 확대를 항상 염두에 두고 필요한 의료체제 등을 갖춰 중증 환자나 사망자가 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며 “정확한 정보를 적시에 공개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현재까지 일본에서 확인된 코로나19 감염 환자는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탑승자 355명에다 앞서 중국 우한에서 전세기를 이용해 귀국한 일본인과 국내 감염 사례 등을 포함, 400명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서울=뉴스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