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30년 철권통치’ 무바라크 前대통령 사망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2월 26일 03시 00분


軍출신… ‘현대판 파라오’ 별명… 재임중 서방국가들과 관계 긴밀
2011년 ‘아랍의 봄’ 확산때 축출, 부패혐의 종신형… 3년전 석방

이집트를 30년간 철권 통치했던 호스니 무바라크 전 대통령(사진)이 25일 지병으로 사망했다고 이집트 국영TV 등이 전했다. 향년 92세. 무바라크 전 대통령은 2주 전 수술을 받았고,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공군 전투기 조종사 출신인 무바라크 전 대통령은 1969년 공군 참모총장에 올랐고, 1973년 제4차 중동전쟁에서 이스라엘에 맞서며 이집트 국민 사이에서 전쟁영웅으로 떠올랐다. 1975년 안와르 사다트 정부의 부통령으로 임명돼 정치적 영향력을 키웠고, 1981년 10월 사다트 대통령이 암살된 뒤 대통령에 올랐다. 이후 2011년 2월까지 대통령직을 유지하면서 ‘현대판 파라오’란 별명을 얻었다.

그는 집권 중 주변국 및 서방 국가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이집트를 둘러싼 안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반대파와 언론 비판을 허용하지 않는 강압 정치로 큰 반발을 샀다. 경제 사정도 어려워 국민의 불만이 깊었다. 결국 2011년 1월 이웃 나라 튀니지에서 시작해 중동과 북아프리카를 뒤흔든 민주화운동인 ‘아랍의 봄’의 물결에 밀려 권좌에서 쫓겨났다.

이후 무바라크 전 대통령은 부정부패와 시위 유혈진압 등의 혐의로 재판을 받고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주로 군병원에 머무르다가 2017년 3월 최종 석방됐다. 말년에는 카이로 남부 나일강변에 위치한 ‘마아디 군 병원’에서 시간을 보냈던 것으로 알려졌다.

무바라크 전 대통령은 제4차 중동전쟁 당시 북한이 이집트에 전투기와 조종사를 지원한 것을 계기로 북한 김일성 주석과 가까운 사이였던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는 중동 국가 정상으로는 드물게 1980년부터 1990년까지 북한을 4차례나 방문했다.

카이로=이세형 특파원 turtle@donga.com
#이집트#호스니 무바라크 전 대통령#철권통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 2020-02-26 09:06:34

    '무바라크'는 지역 정세를 이용해 줄타기 외교하는 독재자인데 부정 축재 규모가 몇 조이고 '이집트'인들도 다들 전염병 오염원처럼 피하거나 뒤로 욕하다 드디어 봉기가 발생한 것인데 역시 '사필귀정'이죠.

  • 2020-02-26 09:03:18

    '무바라크 전 대통령은 제4차 중동전쟁 당시 북한이 이집트에 전투기와 조종사를 지원한 것을 계기로 북한 김일성 주석과 가까운 사이였던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는 중동 국가 정상으로는 드물게 1980년부터 1990년까지 북한을 4차례나 방문했다'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