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일본정부가 방사능을 제거한다고 나섰지만 현장에서는 방사성 일부가 계속 유출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9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0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의 확산 : 기상 영향과 재오염’ 보고서를 발표했다. 지난해 10월부터 3주 동안 후쿠시마 현지에서 방사성 오염 여부를 조사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그린피스 조사팀은 제염이 불가능한 산림 지역에서 지난해 10월 태풍 하기비스의 영향으로 고존위 방사성 세슘이 도로와 주택 등으로 퍼져나갔다고 설명했다.
방사선 오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세슘 137의 반감기는 30년이다. 세슘 137의 반감기인 30년이 10번 지나야 방사선량이 줄어듦을 가정한다면 최소 300년 동안은 그 위험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일본 정부는 그린피스 등 환경단체로부터 꾸준히 방사성 오염 대책을 지적받고 있다. 아울러 올해 대규모 국제행사인 도쿄 올림픽을 통해 방사성 오염국 이미지를 바꾸려는 전략도 비판을 받는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폭발 사고가 났던 제1원전에서 남쪽으로 불과 20Km정도 떨어진 지역인 J빌리지를 올림픽 성화 출발지로 결정하기도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나미에 마을 같은 경우 5581곳의 강 제방과 도로의 대부분(99%)이 일본 정부가 제시한 제염 목표치를 웃돌았다. 아울러 평균 선량은 0.8μSv/h, 최댓값은 1.7μSv/h로 사고 이전보다 20배 가량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는 국제 방사선 방호 위원회가 정한 일반인 연간 한도 선량의 17배나 되는 위험한 수치였다.
그린피스는 후쿠시마 시내 중심부에서도 핫스팟(방사선 고선량 지점) 45개를 발견했다. 이 중 가장 높은 핫스팟은 5.5μSv/h로 원전 사고 이전에 비해 137배 가량 높은 수치였다. 그린피스는 J빌리지에서도 조사를 진행했고 사고 이전에 비해 방사선양이 1775배에 달하는 핫스팟을 발견하기도 했었다.
그린피스 관계자는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발생 이후 꾸준히 제염을 한다고는 하지만 다시 우리가 방사능 수치를 재봤을 경우 인근 지역에서 또 핫스팟들이 발견되고 있다”고 했다.
이어 “J빌리지 같은 경우에도 그린피스의 조사 결과가 나오자 일본 정부에서 핫스팟들을 제거했다고 발표했고 해당 장소에서는 실제 제염이 된 것을 확인했지만 몇미터 떨어진 곳에 가면 또 다시 재오염 지역이 발견됐다”고 지적했다.
그린피스는 올해에도 두 차례 후쿠시마 현장 조사를 나가며, 제염 노동자 피폭 등을 집중 분석한 자료도 발간할 계획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