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특별보고관 “北 봉쇄, 코로나19 해결책 될 수 없어”

  • 뉴스1
  • 입력 2020년 3월 10일 09시 06분


토마스 오헤아 퀸타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 © News1
토마스 오헤아 퀸타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 © News1
토마스 오헤아 퀸타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은 북한의 고립 방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는 해결책이 될 수 없다면서 국제 지원 단체의 접근을 허용할 것을 촉구했다.

10일 VOA(미국의소리) 방송에 따르면, 퀸타나 특별보고관은 9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고 있는 제43차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해 북한 코로나19 사태의 확산을 막기 위한 봉쇄와 방역, 환자 치료 등은 인권 기준에 맞춰 진행해야 한다며 이렇게 밝혔다.

퀸타나 특별보고관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근 인정한 것처럼 북한 내 코로나19 확산이 주민들에게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 주민들 다수가 영양 부족과 성장 부진을 겪었기 때문에 감염이 되면 더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은 의료 역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병원과 의료기관들에 전기와 약품, 위생, 물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퀸타나 보고관은 북한 내에서 중요한 의료 서비스의 경우 대부분이 국제 비정부기구들이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북한이 의료 전문가와 인도주의 지원단체들의 완전하고 방해없는 접근을 허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그는 북한이 코로나19 관련 정보 접근에 대한 통제도 풀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북한이 자초하고 있는 외부로부터의 고립을 어떻게 끝낼 것이냐 하는 것이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 제네바주재 한국대표부는 코로나19의 빠른 확산으로 북한 내 인권 상황이 더 악화될 수 있다면서 국제 사회가 지원할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는 퀸타나 특별보고관의 권고 사항을 상기시키고 싶다고 밝혔다.

유럽연합대표부는 북한 내 인권 상황이 여전히 충격적이라며 실질적인 진전 상황이 없어 실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치적 협상의 교착과 코로나19 위협에 따른 북한의 고립 상황 심화가 인권 상황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