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해 국제사회에 대한 전방위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1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테워드로스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이 2일 기자회견에서 일본과 한국, 이탈리아, 이란을 지목하며 “가장 우려하고 있다”고 말하자, 일본 측은 “동일한 사례로 다루지 말아달라”고 요구했다. 그 다음부터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중국 이외의 80%는 한국과 이란, 이탈리아”라고 말이 바뀌었다.
뉴욕타임스가 지난달 26일 인터넷판에 ‘일본은 코로나19 대응 불가능. 올림픽 개최가 가능한가’라는 일본 교수의 기고문을 게재했다. 그러자 일본 정부는 “일본은 대형 행사 제한, 학교 휴교 등 대담한 조치를 취해왔다”는 반론문을 투고해 2일 인터넷판에 게재시켰다.
10일엔 도쿄 주재 각국 대사관 직원을 불러 설명회를 열었다. 설명회에서 후생노동성 관계자는 자국 전문가 위원회 견해를 인용해 “일본은 폭발적인 감염 확대로 이어지지 않고 (잘) 버텨내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은 홍보 때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감염자(696명)를 제외하고, 인구 1만 명 당 감염자 수를 부각시키고 있다. 그 경우 10일 기준으로 일본은 0.04명으로 이탈리아(1.52명), 한국(1.45명), 이란(0.92명)에 비해 크게 낮다.
하지만 바이러스 검사 실적이 낮다는 점은 언급하지 않고 있다. 검사를 많이 하지 않으면 감염자 수도 적을 수밖에 없다. 10일 일본 외무성이 개최한 해외 언론 대상 설명회에서 “왜 일본만이 감염자 숫자가 늘지 않느냐”, “숨겨진 감염자가 있는 것 아니냐” 등 질문이 쏟아졌다고 신문은 전했다.
도쿄=박형준 특파원 lovesong@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