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대처하는 방안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 대신 ‘집단 면역’ 전략을 선택해 세계의 주목을 받았던 스웨덴 정부가 결국 정책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 4일(현지 시간) 독일 국영 국제방송 도이체벨레(DW)는 ‘스웨덴 정부가 코로나19 정책에 유턴을 검토하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스웨덴 정부는 이동 제한과 공공생활 규제 같은 정책을 신속히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그동안 스웨덴은 대다수 유럽국과 달리 느슨한 방역 조치를 취해 왔다. 50인 이상 모임을 금지하고 재택근무를 권고했을 뿐 시민들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았고 오히려 외출을 권장했다. 스테판 뢰벤 스웨덴 총리는 지난달 22일 “지역의 소비를 위해 가까운 식당에서 점심을 먹으라”고 했다.
영국 더타임스에 따르면 스웨덴 보건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백신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집단면역만이 코로나19를 막을 수 있다는 신념이 있었다. 한 집단에서 일정 비율 이상이 면역력을 갖게 되면 집단 전체가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갖게 된다는 취지다.
하지만 최근 상황이 악화되면서 스웨덴 정부도 이 정책을 유지하기 어렵게 됐다. 2월 15일 첫 감염자가 확인된 스웨덴의 전체 감염자 수는 지난달 4일만 해도 52명에 그쳤다. 하지만 이달 5일 기준 총 감염자는 6830명으로 한 달 만에 약 131배나 늘었다. 이 중 2996명이 최근(3월 28일∼4월 4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사망자도 지난달 11일 처음 나온 뒤 401명까지 늘었다. 현지 보건의료 전문가 2300여 명은 지난달 말 스웨덴 정부에 의료 시스템을 보호하려면 좀 더 강화된 조치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성명을 전달했다.
댓글 6
추천 많은 댓글
2020-04-06 08:08:18
사람들이 뜨겁다고 하면 뜨거운줄 알고 만지지 말아야 하는데... 꼭 자신은 특별하다고 여기고 만져서 데보고....
2020-04-06 09:14:13
집권자가 전문가 없이 무식하고 무책임한 정책으로 국민들을 죽게 만들었다면 응당 사퇴한뒤 책임을 물어 심판해야 한다. 정치인이 전문가영역을 침범해 전염병을 정치도구화한 죄는 기한없이 수사해서 천벌을 주자!
2020-04-06 09:10:47
검사를 잘 하지 않는, 아니 여건상 못하는 국가들의 변명이 있다. 의료붕괴된다는 프레임을 만든 일본을 영국이 따라하면서 집단면역을 내세웠고 영국이 총리, 왕세자까지 감염하고 사망자가 늘어 그걸 포기했는데도, 스웨덴이 뒤늦게 다시 따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