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투자가 짐 로저스 로저스홀딩스 회장이 “북한이 앞으로 2년 뒤면 외국에 열린 나라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로저스 회장은 일본 주간아사히 24일자 최신호(14일 발매) 기고에서 “스위스에서 교육 받고 자란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금과 같은 북한에서 계속 살고 싶어 할 리가 없고, 그가 경제 개방을 목표로 하는 건 당연하다. 한반도는 향후 10~20년 간 투자자들에게 가장 주목받는 지역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로저스 회장은 특히 “어느 나라에서든 처음 피자집을 만든 사람이 인기인이 된다”며 “북한에서 피자 체인점을 시작하면 큰 부자가 될 수 있다. 맥도날드와 스타벅스도 마찬가지”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로저스 회장은 그동안에도 줄곧 북한을 주목할 만한 투자처로 꼽아왔다.
로저스는 “그 외에 관광업, 농업도 (북한에서) 투자처로 기대할 수 있는 분야”라면서 “북한 사람들은 중국이 1978년 ‘개혁·개방’에 의해 급속도로 발전했고, 베이징이 얼마나 변했는지를 알고 있다. 모두가 변화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군사분계선은 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런 가운데 로저스 회장은 이번 기고에서 한국·미국·일본 언론의 북한 관련 보도에 대한 ‘불신’을 나타내기도 했다.
그는 특히 지난달 한국의 북한전문매체가 ‘북한군 180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숨졌다’고 보도한 사실을 거론, “한국의 북한 관련 뉴스는 반북(反北) 프로파간다(선전)”라며 “이런 정보는 믿지 말라”고 했다.
로저스 회장은 “난 한국 언론이 북한 내 신종 코로나 사망자가 1만명 나왔다고 보도해도 믿지 않을 것”이라며 “일본·미국의 북한 보도도 마찬가지로 믿지 말라. 어느 정부든 언론을 통해 프로파간다를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로저스는 “북한 정보를 바르게 이해하려면 (서로) 다른 정보원으로부터 얘기를 들어야 한다”며 “예컨대 북한에 대해 쓴 5개 나라 신문을 읽고 비교해보면 된다. 각각의 보도에 큰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공통된 부분이 많다”고 설명했다.
로저스는 “물론 신중하고 정보를 취사선택해도 틀릴 수 있다”며 “그래도 오랜 기간에 걸쳐 세계 각국에서 복수의 정보원을 얻도록 노력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