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별격리 등 대응 빨라 봉쇄 피해
한국인들, 휴대전화 정보추적 수용… 유교문화 영향 심한 감시사회 때문
세계적 석학 겸 문명비평가인 기 소르망 전 프랑스 파리정치대 교수(76·사진)가 한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격찬했다.
소르망 전 교수는 27일(현지 시간) 프랑스 주간지 르푸앵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이 코로나19 방역에서 최고의 성과를 내고 있다”며 “엄격한 선별적 격리 적용, 감염 집단 전수조사, 위중환자 입원 치료 등 신속한 대응으로 감염자가 많은데도 사망자가 적었고 전 국민 봉쇄도 피할 수 있었다”고 호평했다.
다만 한국이 휴대전화 정보를 이용해 감염자를 추적하는 것에 대해선 “한국인들은 이를 받아들인다. 매우 감시받는 사회에 살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진보와 그의 적들’ ‘중국이라는 거짓말’ 등 베스트셀러를 집필한 소르망 전 교수는 ‘프랑스의 지성’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서구사회의 방역 실패 원인은 ‘안일주의’로 규정하며 비판했다. 유럽과 미국에 대해서는 “위험에 대한 ‘감각’이 부족했다”면서 “코로나19의 심각성을 부인하며, 막연히 방법만 생각한 탓에 귀중한 몇 달이 허비됐다”고 지적했다. 중국에 대해서는 “실패를 승리로 바꾸려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망상적 선전으로 중국은 국제적으로 신뢰를 잃었고, 경제도 악화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댓글 8
추천 많은 댓글
2020-04-30 09:27:05
한국에서도 정부가 어느정도의 개인정보 수집과 공개를 허용할 것인가? 에 대한 논란은 있었다. 예컨데 한때는 소방서는 위치 추적이 되지만 경찰은 못하게 했다. 경찰을 불신한 것이다. 질본은 정치적인 조직이 아니라 개인정보 오남용에 대한 우려를 덜 하는 것이다.
2020-04-30 09:15:39
한국은 감시사회인 중국과는 다르다. 문화적 차이보다 더 상황을 잘 이해하게 만드는 게 기술의 격차란 생각은 안드냐? 한국은 정보통신 기반이 세계에서 가장 발전된 나라에 속할 것. 유럽도 같은 기술적 기반을 갖추게 된다면, 비슷한 일을 장차 안한다는 보장이 과연 있을까?
2020-04-30 09:06:01
그게 유교 문화의 덕이라면, 유교 문화가 없는 유럽은 앞으로도 전염병 대응에 계속 취약한 상태로 남아야겠네. 유럽은 뒤쳐진 문명이란 얘기냐?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도 전면 봉쇄를 했고 유럽도 비슷한 조치를 했다. 둘이 문화가 비슷해서 그런 것은 혹시 아니냐?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