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경제 영향 생각하면 美와 쉽게 공동 보조 맞출 수 없어"
"미중 갈등으로 시진핑 방일 영향 우려"
"韓·露, 중국과 경제 연결 강해 …중국 포위 어려워 보여"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홍콩 문제를 두고 격화하는 가운데, 미국을 동맹국으로 두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일을 앞둔 일본이 어려운 대응을 압박당하고 있다고 일본 언론이 분석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에 한국 등을 초청해 참가국 확대 의사를 밝히자 일본이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2일 니혼게이자이 신문(닛케이)은 “홍콩 문제 일본 외교를 직격”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미중 갈등으로 일본이 어려운 대응을 압박당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0일(현지시간) 6월 예정이었던 G7 정상회의를 9월로 연기하겠다면서 G7은 ‘구식’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한국, 러시아, 호주, 인도를 초청하겠다고 밝혔다. 닛케이는 한국과 호주, 인도가 중국 대항을 위한 ‘인도·태평양 전략’의 주요국이라며 초청의 배경은 “중국 ‘포위망’ 색이 짙다”고 풀이했다.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강경 자세가 “일본에게는 난제다”라고 봤다. 미국은 일본에게 중국의 해양진출에 대항하는 등 안보면에서 협력이 필수적인 존재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개인적인 신뢰 관계를 쌓으려 노력했으며, 무역·안보 대외 정책을 구축해왔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홍콩에 대한 제재와 홍콩 특혜 대우 취소를 선언했다.
홍콩은 지난해 일본 수출입 총액의 2.5%를 자치하는 수출입 9위 국가다. 일본 외무성의 해외주재 일본인 수 조사 통계에 따르면 홍콩총영사관의 관내 일본계 기업 거점은 2018년 10월 기준 1400개가 넘는다.
일본 정부는 홍콩 시민에게 자국 입국 편의를 봐주고 있는 등 경제 관계에서 아주 밀접하다. 외무성 관계자는 “경제에 대한 영향을 생각하면 일본은 간단히 미국과 공동 보조를 맞출 수 없다”고 토로했다. 게다가 올해에 시 주석의 국빈 방일을 앞두고 있어 일본은 더욱 곤란한 상황이다. 중일은 지난해부터 시 주석의 방일을 계속 검토했다. ‘국빈 방일’을 통해 중일 관계 개선에 주력하려는 생각이었다.
하지만 홍콩 문제를 둘러싸고 미중 갈등이 부상한 상황 아래 실현이 어렵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도 지난달 28일 기자회견에서 홍콩 정세가 시 주석의 방일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일본 정부는 EU와 함께 홍콩 자치를 보장해온 ‘영국-중국 공동 선언’을 꺼내들고 ‘일국양제’ 유지와 인권 중시를 중국에 요구할 전망이다. 9월 G7 정상회의까지 약 3개월이 남은 가운데 “중국이 홍콩 국가안전법 도입을 더욱 추진하면 미국의 중국에게 보다 엄격한 자세를 나타내도록 일본, 유럽에 요구할 가능성이 부상한다”고 신문은 우려했다.
2일 지지통신도 트럼프 대통령의 G7 참가국 확대 발언에 일본 정부가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등을 초청해 G7 참가국 확대를 꺼내든 것은 “중국 포위망을 생각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다른 외무성 관계자는 “미중 대립이 더욱 격화되면 (시 주석을) 언제까지고 부를 수 없게 된다”고 우려했다.
다른 외무성 소식통은 “미국 측의 진의(?意)를 아는 사람이 없다”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통신은 “이름이 거론된 4개국 가운데 러시아와 한국은 중국과 경제적인 연결이 강해, 중국 포위망(부분)에서 보조를 맞추는 게 어려워 보이기 때문이다”고 부연했다.
과거 G7 정상회의에서는 중국, 인도 등이 참석한 예가 있다. 이번 의장국인 미국의 판단에 따라 옵서버(observer)로서 참가 가능하다. 하지만 일본 정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말은 초대가 아닌 신규 멤버로서 부르는 이미지다”며 “그렇다면 (실현은) 어렵다”고 주장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