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오헤아 퀸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북한의 만성적인 식량 부족과 영양실조가 심각하다며 안정적인 식량 공급을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대북제재를 재검토할 것을 촉구했다.
9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퀸타나 보고관은 이날 성명에서 “지난 5개월간의 북중 국경 봉쇄와 엄격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조치로 인해 북한의 식량 상황이 크게 악화됐다”며 “만성적인 식량 불안정이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여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난 3월과 4월 북중 무역량의 90% 이상이 감소한 점을 들어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북한에 극심한 경제난을 초래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북한 대도시에서 꽃제비(거리를 떠도는 노숙 아동) 등 노숙자가 늘었으며 의약품 가격이 폭등했다는 보도가 있었다”며 “하루에 두 끼만 먹거나 옥수수만 먹는 가정이 늘고 있으며 아예 굶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고 강조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이날 엘리자베스 바이어스 유엔 세계식량계획(WFP) 대변인도 기자회견을 통해 “북한의 인도주의적 상황이 여전히 암울하다. 만성적인 영양실조가 임신부와 수유부 및 어린이의 건강과 발달에 장기적인 피해를 주고 있다”며 “북한 인구의 40%에 해당하는 1000만명 이상이 인도주의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스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