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당국이 전세계 암호화폐 거래소로부터 3억달러 이상 가로챈 북한 해커들이 사용한 280개 암호화폐 계좌를 몰수하기 위해 나섰다.
2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 법무부는 북한과 중국 해커들이 암호화폐 거래소 10여곳에서 빼돌린 돈의 일부를 세탁하는 데 사용한 계좌들을 몰수한다고 밝혔다.
법무부에 따르면 북한 해커들은 은행 또는 암호화폐 거래소를 직접 해킹하거나 암호화폐 채굴, 온라인 컴퓨터게임 자동화로 게임 내 포인트나 아이템을 현금화하는 등 저급 인터넷 사기 방식으로 돈을 빼돌린다. 지난 2년 간 이들이 일련의 사이버절도 행위를 통해 훔친 돈은 3억달러가 넘는다.
브라이언 랍빗 미 법무부 차관보 대행은 “이번 조치는 북한의 사이버해킹 프로그램과 중국 암호화폐 돈세탁 네트워크가 연결돼 있다는 것을 대중에 공개한다”며 “미국의 가상화폐 기업도 북한의 표적이 됐다는 첫 공식 발표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법무부와 국세청 요원들은 북한 해커들이 맬웨어(악성코드)를 이용해 거래소에 침입, 사용자 계좌를 도용한 뒤 중국의 브로커들을 통해 수익금을 세탁했다고 설명했다.
미 정부 관계자들은 해커들이 북한 정보국, 일명 ‘라자루스 그룹’이 운영하는 해커집단과 연관돼 있다고 말했다.
앞서 법무부는 지난 3월 북한 해커들이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훔친 돈을 세탁하도록 도운 혐의로 중국인 2명을 기소하고 제재했다. 연방 검찰은 이들이 선불형 애플 아이튠즈상품권으로 비트코인을 교환해 해커들의 돈세탁을 도왔다고 밝혔다.
지아 파루키 미 법무차관은 “3월 계좌 몰수 이후 당국은 수개월간 잠자고 있던 이 사이버절도 관련 계좌들이 세탁된 것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미국과 유엔 관계자들은 북한이 국제 금융시스템으로부터 고립돼 있기 때문에 국제 제재를 피하기 위해 사이버공격에 의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WSJ는 이같은 조치가 미국 당국이 북한을 국가안보와 세계 금융시스템에 대한 중대한 위협으로 보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지적햇다. 유엔 전문가들과 미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북한 정권은 사이버절도 수익금을 군사 및 핵무기 프로그램 개발 자금으로 사용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