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현지 시간) 치러진 미국 대통령 선거의 개표 결과 민주당 조 바이든 후보의 당선이 유력시 되는 가운데 한국 산업계도 신중하게 결과를 지켜보고 있다.
바이든 후보는 개표 초반 6개 경합주(플로리다·노스캐롤라이나·애리조나·펜실베니아·미시간·위스콘신)에서 애리조나를 제외하고는 현직 대통령인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후보에게 열세였으나, 우편투표 개표가 본격화된 후반부 미시간, 위스콘신에서 잇따라 역전하며 승기를 잡았다. 이들 6개 경합주는 101명의 선거인단이 분포한 지역이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바이든 후보는 현지 시간 4일 오후 8시(한국시간 5일 오전 10시) 현재 총 538명의 선거인단 중 253명의 선거인단을 확보, 당선에 필요한 270명에 17명만을 남겨두고 있다. 반면 트럼프는 214명에 머물고 있다.
바이든 후보는 11명의 선거인단이 걸려 있는 애리조나에서 트럼프에 3%p차이로 앞서 있고, 6명의 선거인단이 걸려 있는 네바다에서는 0.6%p 차이로 근소하게 우위를 점하고 있다.
2개 주의 선거인단 합이 바이든이 당선에 필요한 17명이어서 2개 주만 가져가면 바이든은 백악관에 입성할 수 있다. 개표율이 80% 후반대로 향하고 있는 가운데, 현지 언론과 선거전문가들은 상대적으로 민주당 지지층이 더 많이 이용했을 것으로 판단되는 우편투표 개표 결과가 더해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트럼프가 역전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본다.
재계에서는 바이든이 당선되더라도 보호무역주의로 대표되는 미국의 자국우선주의 기조에는 변함이 없을 것으로 본다.
바이든 후보는 ‘미국인들에게 이익이 되는 노동자 기반의 통상정책 추진’을 공약을 내세웠다. ‘미국 내 제조’(Made in America), ‘미국산 구매’(Buy American) 등 미국 제조업 부흥,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악화된 미국 경제를 회복하겠다는 게 바이든의 구상이다.
다만 TPP(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 탈퇴, 세계무역기구(WTO) 무력화를 통한 다자통상질서 약화, 고율의 관세를 통한 미중 무역갈등 심화 등 트럼프 대통령이 보여줬던 불확실성이 높은 통상정책은 이어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재계는 바이든 후보가 백악관에 입성하면 제 기능을 못 하고 있는 세계무역기구(WTO) 개혁을 주도하는 등 다자주의 회귀에 무게를 둘 것으로 예상한다. 대(對) 중국 경제정책에서는 상호 관세보다는 동맹국과의 협력을 통해 중국의 불공정 행위를 규제하려 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윤여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미주팀장은 5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2021년 미국 신정부 출범과 한국에의 시사점 좌담회’에서 “WTO 개혁에 대한 우리의 입장정리, 미국의 TPP 복귀 가능성에 대한 우리의 실익을 따져 통상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후보가 트럼프 대통령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부분은 환경정책이다. 바이든 후보는 유세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달리 친환경을 강조하며 취임 후 환경 의무를 다하지 않는 국가에 대해 탄소조정세를 도입하고, 취임 첫날 트럼프 대통령이 탈퇴한 파리기후협약에 재가입하겠다고 선언했다.
이 때문에 산업계는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한다면 탄소조정세가 새로운 통상이슈로 급부상 할 수도 있을 것으로 내다본다. 바이든 후보가 당선될 경우 수혜가 예상되는 기업들을 토대로 만든 ‘바이든지수’에 선런, 넥스트에라 에너지와 같은 신재생 에너지기업, 테슬라와 같은 전기차 생산기업이 포함된 것은 친환경을 중시하는 공약 때문이다.
한편 승부추가 바이든 후보로 기울고 있음에도, 트럼프 선거운동 진영이 조지아주에서 개표 중단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하는 등 결과에 승복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 대선 후유증은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이는 불확실성이 커진다는 측면에서 한국 산업계도 매우 우려하는 상황이다.
김봉만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협력실장은 “이번 미국 대선은 예년 선거와 달리 결과로 인한 미국사회의 분열과 그로 인한 후유증과 혼란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우리 기업과 경제계는 시나리오별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