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도국에 백신 공급 中, 속내는?…“영향력 확대 수단”

  • 뉴시스
  • 입력 2020년 12월 10일 15시 19분


中, 동남아 등에 코로나 백신 우선 공급 결정
美 전문가 "백신, 소프트파워 확대하는 수단"
코로나19 발원지라는 비난 희석도 목적

중국이 개발도상국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우선 공급하는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9일(현지시간) CNBC는 분석가들이 중국의 속내를 의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에 먼저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제약사 시노팜, 시노백 등을 앞세운 이른바 ‘백신 외교’다.

이에 따라 말레이시아, 필리핀 외 여러 아프리카 국가를 포함한 개발도상국들은 중국이 개발한 백신에 우선 접근권을 갖게 됐다. 중국 제약사들은 일부 국가와는 백신 임상시험 및 제조 계약도 맺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상업적, 정치적 이익을 지지하라고 해당 국가들을 압박하려는 포석으로 봤다.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의 연구원 이모젠 페이지 재럿은 “완전히 이타적인 결정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중국은 그 나라들에서 상업적·전략적 이익을 확대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그는 백신이 “중국의 영향력과 소프트파워를 확대하는 수단”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19 발원지라는 국제사회의 비난도 어느 정도 덜 수 있다.

메르카토르 중국연구소의 제이컵 마델은 중국 지도자들이 백신을 “글로벌 공공재”라면서도 “중국의 우정과 글로벌 리더십”과 연관지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백신이 그런 식으로 활용되는 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충자이안 싱가포르 국립대 정치학 부교수는 중국이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 등 “전반적인 범위”로 협력을 요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제약사들은 백신 판매로 수익을 올리고자 한다면서 “(중국의)사리사욕적인 동기는 놀랍지 않고, 중국만의 특색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어디까지 요구하느냐가 문제”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개발도상국은 서방 제약사보다는 중국 제약사와 백신 계약을 체결할 여지가 더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화이자·바이오엔테크와 모더나 백신은 ‘mRNA(메신저 RNA) 백신’으로, 초저온에서 유통·보관해야 한다. 이제까지 나온 임상 데이터를 놓고 보면 고효율이지만 가격도 비교적 비싸다. 마델은 이 백신들의 경우 “소수의 매우 부유한 국가들이 이미 차지했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1
  • 슬퍼요
    1
  • 화나요
    1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1
  • 슬퍼요
    1
  • 화나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