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국민통합 8차례나 호소… “내 모든 영혼 쏟아붓겠다”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1월 22일 03시 00분


[바이든 시대]취임연설 속의 바이든 국정 의지

백악관 발코니에 선 바이든 부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부인 질 여사가 20일(현지 시간) 취임식 행사 후 백악관 발코니에 나란히 선 모습. 질 여사가 축하공연이 끝나고 벌어진 불꽃놀이 장면을 보면서 손뼉을 치고 있다. 워싱턴=AP 뉴시스
백악관 발코니에 선 바이든 부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부인 질 여사가 20일(현지 시간) 취임식 행사 후 백악관 발코니에 나란히 선 모습. 질 여사가 축하공연이 끝나고 벌어진 불꽃놀이 장면을 보면서 손뼉을 치고 있다. 워싱턴=AP 뉴시스
“1월의 오늘, 나의 모든 영혼은 여기에 놓여 있다. 미국을 하나로 묶는 것, 국민을 통합시키는 것, 국가를 단결시키는 것에.”

20일(현지 시간) 정오 워싱턴 국회의사당에 마련된 조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식 무대. 취임선서를 마치고 연단에 선 바이든 대통령은 1863년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노예해방선언 당시 “나의 모든 영혼을 여기 담는다”라고 했던 연설 일부를 인용하며 이렇게 말했다.

이날 취임 연설에서 가장 많이 나온 단어는 ‘통합(unity)’과 ‘민주주의(democracy)’였다. 불과 2주 전 시위대의 의회 난입사태와 폭력으로 얼룩졌던 바로 그곳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이 두 단어를 각각 8번, 11번 반복하며 그 의미를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민주주의에 대한 공격, 인종차별, 약화하는 미국의 글로벌 위상 등 미국이 직면한 냉혹한 현실을 언급하며 “우리가 이런 문제들에 동시에 직면한 게 현실”이라고 진단했다. “우리를 갈라놓는 힘은 깊고 실재하는 것”이라고 했고 “통합을 이야기하는 것이 누군가에게는 어리석은 환상으로 들릴 수 있다는 것을 안다”고 말하기도 했다. 미국은 코로나19 확진자가 2500만 명에 육박하고 사망자가 41만5000명을 넘어서며 경제적으로도 크게 타격을 받은 상황. 실업 증가와 소비 위축 등의 경제적 난관도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그는 곧이어 “우리 모두는 일어서야 한다. 담대함이 필요한 때”라며 “우리는 해야만 하고 해낼 것”이라고 격려했다. 미국이 남북전쟁과 대공황, 세계대전, 9·11테러 등을 겪으면서도 단결과 노력, 희생을 통해 늘 극복해냈음을 상기시켰다. 또 통합을 역설하며 “우리는 두려움이 아닌 희망, 분열이 아닌 통합, 어둠이 아닌 빛의 이야기를 함께 써내려갈 것”이라고 했다.

민주주의라는 단어는 역대 어느 대통령의 취임사에서보다 많이 사용됐다. CNBC방송에 따르면 해리 트루먼 전 대통령과 프랭클린 루스벨트 전 대통령이 각각 1949년, 1941년 취임사에서 민주주의란 단어를 반복해서 썼지만 당시는 모두 9번이었다. 바이든 대통령 연설문 작성팀은 당초 원고에서 통합에 초점을 맞췄으나 바이든 대통령이 의회 난입 사태 이후 민주주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비중을 늘린 것으로 알려졌다. 취임사 첫 문장부터 “오늘은 민주주의의 날”이라고 선언한 그는 국회의사당에 난입했던 시위대를 ‘폭도(mob)’로 부르며 “민의를 침묵시키고 우리 민주주의를 중단시키기 위해 폭력을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했겠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고 앞으로도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전임 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폐기하고 대외적으로 동맹 및 파트너 국가들과의 협력을 강화할 뜻도 재차 천명했다. 그는 “국경 밖에 있는 이들에게 내가 전달하는 메시지는 미국은 시험대에 올랐으나 더 강해졌다는 것”이라며 “우리는 동맹을 복원하고 전 세계에 다시 관여할 것”이라고 했다. “단순히 힘의 사례로 리드하는 게 아니라 우리의 모범이 갖는 힘으로 그렇게 하겠다”고 다짐했다. “평화와 발전, 안전을 위해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되겠다”고 했다.

이날 취임사는 바이든 대통령이 36년간 상원의원, 8년간 부통령을 지내며 해왔던 수많은 연설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역사적 연설이다. 그는 오랜 측근인 마이크 도닐런 대통령 선임고문과 연설비서관인 비네이 레디 등 참모들의 도움을 받아 연설문을 마지막까지 다듬으며 공을 들여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 결과 4년 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했던 연설과는 크게 다른 연설문이 완성됐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빈곤과 폭력, 러스트벨트 지역의 산업 침체 같은 문제를 거칠게 비판하며 ‘미국 학살(American Carnage)’이라는 표현을 썼다.

워싱턴=이정은 특파원 lightee@donga.com
#바이든#국민통합#8차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