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조사팀, 족제비오소리·야생토끼 코로나 ‘중간숙주’로 주목

  • 뉴시스
  • 입력 2021년 2월 19일 14시 33분


박쥐에서 중간숙주를 거쳐 인간에 전염됐을 가능성 높아

세계보건기구(WHO)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원 조사팀이 ‘중간 숙주’로 족제비오소리와 야생토끼를 주목하고 있다.

1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를 방문했던 WHO 조사팀이 현지 시장에서 거래되는 족제비오소리와 야생토끼가 사람에게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전파했을 가능성에 대해 조사 중이라고 전했다.

WHO 조사팀은 현장 조사 과정에서 이 두 가지 동물이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발생한 우한 화난수산시장에서 많이 판매됐던 사실을 확인했다.

조사단에 포함됐던 미국 질병 생태학자이자 전염병 예방 비영리 단체인 ‘에코헬스 얼라이언스’ 대표인 피터 다작은 “시장 냉장고에서 발견된 족제비오소리 사체에 대한 코로나19 검사 결과는 음성으로 나왔다지만, 이들은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이는 코로나19가 우한에 어떻게 유입됐는지에 대한 경로를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다작 대표는 또 “야생토끼도 시장에서 거래됐는데 (야생토끼는) 코로나19에 매우 취약하다”고 설명했다.

WHO 조사팀 일원인 네덜란드 바이러스 학자 마리온 쿠프만스도 “족제비오소리와 야생토끼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전파 및 확산시킬 수 있는 (중간숙주) 동물로 판단된다”고 주장했다.

WHO 조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박쥐에서 시작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중간숙주 동물을 통해 인간에 전염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WHO 조사팀은 태국,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코로나19와 유사한 코로나 바이러스가 발견된 점을 감안해 이들 국가에 대한 조사도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동남아 지역 야생동물 사체가 냉동된 상태로 우한에 배송됐을 가능성까지 염두에 뒀다.

조사팀은 사향고양이, 너구리 등 코로나19를 전파시킬 수 있는 다른 야생동물이 화난수산물 시장에서 판매됐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다.

WHO 조사팀 일원인 호주 미생물학자 도미닉 드와이어는 유럽에서 족제비과 동물인 밍크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검출된 사례를 근거로 중국 정부가 자국내 밍크농장들에 대해서도 광범위한 조사를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