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국제
美백악관, 12일 반도체 대란 대응회의 소집…“삼성도 와라”
뉴스1
업데이트
2021-04-02 10:10
2021년 4월 2일 10시 10분
입력
2021-04-02 09:44
2021년 4월 2일 09시 44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조 바이든 행정부의 경제·안보 보좌관들이 최근 차량용 반도체 부족현상으로 촉발된 전 세계 반도체 대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회의를 개최한다.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바이든 행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오는 12일 반도체, 자동차 업계 지도자들을 만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 회담에는 한국의 삼성전자, 미국 제네럴 모터스(GM)와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등 반도체 제조업체와 자동차 제조업체는 물론 기술 및 의료기기 업체도 초청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는 최근 차량용 반도체 부족현상으로 촉발된 전 세계 반도체 대란 문제의 영향과 해결 방안, 향후 대응 방안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최근 전 세계적 반도체 대란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수요 예측 실패가 꼽힌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자동차 수요가 급감할 것으로 예상되자 자동차업계들은 반도체 주문을 줄였고, 위탁 생산 업체들은 반도체 생산량을 크게 줄였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지난해 10~12월 중국시장을 중심으로 신차 주문이 쏟아지면서 반도체 재고가 부족한 상황이 됐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코로나19 확산으로 원격 근무, 수업 확대로 노트북·홈네트워킹 장비 수요가 대폭 증가했고, 가전제품 판매도 급증했다.
현재 세계 반도체 칩 공급 물량 대부분을 삼성과 대만 TSMC 두 업체가 담당하고 있는 가운데, 바이든 정부는 공급 부족에 따른 타격을 완화하기 위해 자국 내 생산을 늘리는 데 대한 인센티브 검토, 공급망 취약점 개선 등 여러 대책을 모색 중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바이든 행정부가 오는 12일 기업들을 초청해 미국 내 반도체 칩 생산 확대 지원을 적극 유치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실제 인텔은 지난 23일 애리조나주에 신규 반도체 공장 2곳을 설립하는 데 200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 미국 내 반도체 생산 능력을 대폭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서울=뉴스1)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檢 ‘명태균 공천개입 의혹’ 중앙지검 이송…金여사 수사 포석?
소비자원, 티메프 여행상품 집단소송 지원 신청 받는다
트럼프-머스크 첫 공동인터뷰…‘머스크 대통령’ 논란 묻자 한 말은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