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환경을 이유로 최대의 희토류 생산지인 장시성 간저우시에서 희토류 생산을 일부 중단했다. 이는 사실상 희토류 무기화를 선언한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 관영 글로벌 타임스는 희토류 최대 생산지인 장시성 간저우시에 위치한 희토류 채굴기업의 40∼50%가 생산을 중단했다고 9일 보도했다. 가동을 중단한 공장은 주로 희토류 폐기물 처리업체인 것으로 알려졌다.
◇ 희토류 기업 40~50% 조업 중단 : 글로벌타임스는 중앙정부에서 파견한 생태환경보호 조사단의 희토류 채굴 현장조사를 앞두고 생산이 중단됐다고 설명했다. 생태환경보호 조사단은 5월 7일까지 간저우시에 머물며 환경오염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글로벌타임스는 올 초 전세계 희토류 수요가 급증하면서 희토류 생산이 24시간 연중무휴로 이뤄졌다면서 이로 인해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올 1월부터 2월까지 중국의 희토류 수출은 전년대비 28.8% 급증한 7068톤을 기록했다. 세계 경기가 급속히 회복하며 수요가 살아난 것. 이에 따라 일부 업체는 춘제(설) 연휴 때도 공장을 가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 장기화하면 희토류 가격 상승 불가피 : 희토류 관련 환경조사와 그로 인한 생산 중단은 희토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이번 가동 중단과 미얀마의 민주화 운동으로 미얀마에서 들어오는 희토류 원석 운송이 차질을 빚음에 따라 전세계 희토류 공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희토류 전문가인 우천후이는 “희토류의 생산 중단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생산 중단이 한 달 이상 길어질 경우, 세계 공급망에 상당한 타격을 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서방의 신장 제재에 대한 불만 표출일 수도 : 중국은 환경을 구실로 희토류 생산을 일부 중단하고 있지만 일각에선 미국 등 서방 진영에 대한 반격 카드로 희토류를 활용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환경보호는 구실일 뿐 희토류를 무기화하기 위한 사전 포석이라는 것이다.
실제 중국은 희토류를 무기화한 적이 있다. 지난 2010년 일본과의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분쟁 때 중국은 희토류의 일본 수출을 금지했다. 이로 인해 희토류 일본 수입 가격이 9배로 폭등해, 일본 기업들이 큰 타격을 받았었다.
최근 미국과 유럽은 중국 신장 위구르 지역의 강제노동 등 인권유린 문제를 제기하며 각종 대중 제재를 부과하고 있다. 중국은 이에 맞서 희토류를 무기화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이 같은 조치를 취했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미국은 중국의 희토류 무기화에 대비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인 2018년 호주·캐나다의 희토류 생산업체와 장기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대체 공급처를 찾고 있다.
이뿐 아니라 조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직후 반도체, 희토류 등 핵심 품목의 공급망을 확보하는 긴급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