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백악관이 전 세계적 백신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지식재산권(IP) 면제’에 나서는 방안을 거론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27일(현지시간) 공식 유튜브로 중계된 정례 기자회견에서 타국의 제네릭(복제약) 생산을 위한 코로나19 백신 특허권 면제 여부에 관해 “(미국에서 백신을) 생산해 세계에 공급하는 게 효율적인지, IP 면제가 선택지일지 평가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사키 대변인은 “우리는 가능한 한 최저 가격으로 (코로나19) 백신 생산과 공급을 최대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라며 “여러 방법이 있다. 지금은 그것(IP 면제)이 한 가지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무엇이 가장 이치에 맞을지 평가해야 한다”라고 했다.
그는 다만 “미 무역대표부(USTR)로부터는 권고가 없으며, 대통령도 결정을 하지 않았다”라고 덧붙였다.
코로나19 창궐 이후 전 세계적 백신 불평등이 화두가 되는 가운데 미 의회와 비영리기구 등에선 조 바이든 행정부를 상대로 빈곤국 지원을 위해 백신 특허권을 일시적으로 면제하라는 압박이 제기돼 왔다.
캐서린 타이 USTR 대표는 지난 26일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와 이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백신 특허권을 일시 면제한다고 해도 생산 설비 안정성 등은 여전히 문제라는 지적도 있다. 자칫 백신의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댓글 0